
1. 본문 요약성벽 재건이 거의 완성되어 가는 시점에 (문짝만 달지 않은 상태)산발랏, 도비야, 아라비아 사람 게셈 등 원수들이 느헤미야를 방해하기 위해계속해서 거짓말과 협박, 음모를 벌인다.느헤미야는 그들의 초청과 회유를 단호하게 거절하며,하나님의 사명에 집중한다.결국 성벽은 52일 만에 완성되고,대적들은 하나님의 역사임을 알고 크게 낙담한다.2. 주요 등장인물인물설명느헤미야성벽 재건을 지도하는 하나님의 일꾼. 끝까지 흔들리지 않고 사명을 완수한다.산발랏사마리아 사람으로 느헤미야를 방해하려는 주도적 적대자.도비야암몬 사람, 유다 귀족들과도 연결되어 느헤미야를 끊임없이 위협한다.게셈아라비아 사람, 산발랏과 함께 느헤미야를 공격하려 한다.스마야뇌물을 받고 거짓 예언으로 느헤미야를 함정에 빠뜨리려 한 사람...

느헤미야 5장은 공동체 내부의 갈등을 다룹니다. 외부의 위협(사마리아인들의 방해)과 동시에, 내부에서는 경제적 불평등과 착취가 심화되고 있었죠.이 상황 속에서 느헤미야는 신앙의 정의로 개입하여 공동체를 회복해 갑니다.1. 📢 백성들의 고통스런 부르짖음 (1~5절)✅ 상황 요약기근과 흉년 속에 양식이 부족하여 백성들은 살아남기 위해 빚을 지고, 밭과 집을 저당 잡히며, 자녀를 종으로 팔고 있었습니다.특히 세금을 내기 위해 빚을 내야 했던 현실이 백성들을 절망에 빠뜨렸습니다.“우리도 유다인이고, 우리 자녀도 그들의 자녀와 같건만… 이제는 우리의 밭과 포도원이 이미 남의 것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동족 유다인에게 착취당하고 있었고, 생존을 위해 자녀를 종으로 팔아야 할 지경이었습니다.2. ⚖ 느헤미야의 ..

이스라엘의 역사서를 공부하다 보면, 에스라와 느헤미야, 그리고 에스더는 빠질 수 없는 책입니다.특히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개혁과 부흥의 교과서’라고 불릴 만큼, 신앙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강한 열정을 보여주는 인물들이죠.오늘은 포로 귀환의 역사와 그 안에서 이뤄진 신앙 회복의 여정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1. 포로 귀환의 세 번의 물결페르시아 왕 고레스의 칙령 이후, 유다 백성들은 고향 땅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모두가 돌아온 것은 아니었습니다.차수 연도 (주전) 인물 특징1차 귀환538년스룹바벨, 학개, 스가랴성전 재건 시작2차 귀환458년에스라율법 교육과 신앙 개혁3차 귀환445년느헤미야성벽 재건과 사회 개혁이 3차에 걸친 귀환을 통해 약 42,360명이 돌아왔고, 이들은 100년에 ..

🎵 찬송가 384장 – 나의 갈 길 다 가도록(My Savior Leads Me)1절나의 갈 길 다 가도록 예수 인도하시니내 주 안에 있는 긍휼 어찌 의심하리요믿음으로 사는 자는 하늘 위로 받겠네무슨 일을 만나든지 만사 형통하리라무슨 일을 만나든지 만사 형통하리라2절나의 갈 길 다 가도록 예수 인도하시니어려운 일 당한 때도 족한 은혜 주시네나는 심히 고단하고 영혼 매우 갈하나나의 앞에 반석에서 샘물 나게 하시네나의 앞에 반석에서 샘물 나게 하시네3절나의 갈 길 다 가도록 예수 인도하시니그의 사랑 어찌 큰지 말로 할 수 없도다성령 감화 받은 영혼 하늘나라 갈 때에영영 부를 나의 찬송 예수 인도하셨네영영 부를 나의 찬송 예수 인도하셨네 아멘✨ 가사 묵상과 정리이 찬송가는 우리의 삶의 모든 여정을 예수님께서..

📖 느헤미야 4장 읽기✝️ 무너진 벽을 세우는 믿음의 전쟁📌 개요느헤미야 4장은 예루살렘 성벽 재건의 한가운데, 외부의 조롱과 공격, 그리고 내부의 낙심과 불안 속에서도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믿음과 실천으로 성벽을 계속 세워 나갔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장입니다.이 장은 단순한 역사적 기록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영적 전쟁 속에서 교회와 가정을 세우는 믿음의 자세를 가르쳐 줍니다.1. 조롱과 멸시 속에서 드리는 기도 (1–6절)“산발랏이 우리가 성을 건축한다 함을 듣고 크게 분노하여 유다 사람들을 비웃으며...” (4:1)🔍 본문 이해산발랏과 도비야는 느헤미야 2장에서도 방해했던 자들로, 유다인의 회복을 위협으로 느낀 이방 권력자입니다.성벽 재건이 본격화되자 비웃고 멸시하며..

느헤미야 3장은 예루살렘 성벽 재건에 동참한 다양한 백성들의 기록입니다. 이 장을 통해 공동체의 협력과 신앙적 헌신, 지도자의 본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봅니다.🏗️ 느헤미야 3장, 단순한 건축 기록이 아니다느헤미야 3장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는 데 동참한 백성들의 이름과 작업 위치를 아주 체계적으로 기록한 장입니다. 얼핏 보면 반복적이고 지루한 건축 명단 같지만, 사실은 신앙 공동체가 어떻게 하나 되어 무너진 하나님의 성을 다시 세우는지 보여주는 은혜의 이야기입니다.📌 전체 구조 한눈에 보기항목 내용📖 주제예루살렘 성벽 재건에 참여한 사람들과 그들의 담당 위치🧱 핵심 내용각 성문과 성벽 구간의 복원, 참여자 명단👥 참여 인물제사장, 레위인, 귀족, 상인, 금장색, 여성 등 다양한 계층🧭 방..

한주간 바쁘게 지나다보면 습관을 따라 주일을 맞이합니다. 그렇게 흘러가는대로 두면 신앙은 타성에 젖게 됩니다. 기쁨과 감사와 감격이 넘치고 사랑과 소망과 헌신으로 열매가 맺히는 삶과는 거리가 멀어집니다. 그러다 시험이나 유혹이 찾아오면 자연스럽게 넘어집니다. 그러나 어떤 사건을 만나서 정신을 차지고 다시 시작합니다. 이러기를 반복합니다. 이제는 이 패턴을 끊어야 합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사실 매우 쉽습니다. 그것은 바로 주일을 제대로 준비하는 것입니다. 성도님들의 주일준비를 위해서 토요일에 설교 본문을 쉬운성경으로 읽고 묵상할 수 있는 자료를 올려드립니다. 읽고 묵상하고 기도하는데, 10분이면 됩니다. 그런데, 이 작은 시간이 주일을 풍성하게 만듭니다. 함께 참여해 보시길 권합니다. 📖 느헤미야 2..

느1:1 다음은 하가랴의 아들 느헤미야의 말입니다. 나 느헤미야가 아닥사스다 왕 이십 년 기슬르 월 에 페르시아의 수도인 수산에 있을 때의 일입니다. 느1:2 나의 형제인 하나니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유다에서 왔습니다. 나는 그들에게 포로로 끌려오지 않고 남아 있는 유다 사람들이 잘 있는지, 그리고 예루살렘은 어떠한지 물었습니다. 느1:3 그들이 대답했습니다. “포로로 끌려오지 않고 유다 지방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많은 고생을 하고 있으며 멸시당하고 있습니다. 예루살렘 성벽은 무너졌고 그 성문들은 불타 버렸습니다.” 느1:4 나는 그 말을 듣고 자리에 주저앉아 여러 날 동안, 울었습니다. 슬퍼서 음식도 먹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하늘의 하나님께 기도드렸습니다. 느1:5 나는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하늘의 ..

바벨론 포로기 이후, 돌아온 유다 백성의 삶은 정말 회복되었을까?✨ 들어가며‘에스라’와 ‘느헤미야’는 현대 성경에서 각각 독립된 책으로 나뉘어 있지만, 원래는 한 저자가 기록한 한 권의 책이었습니다.이 두 책은 바벨론 포로 후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의 재건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하지만 단순한 ‘건축기록’이 아니라, 하나님 백성의 실패와 회개, 그리고 미래를 향한 소망이 담긴 책입니다.📜 역사적 배경바벨론 포로 사건: 주전 586년, 바벨론이 예루살렘을 멸망시키고 성전을 파괴함.페르시아 시대: 고레스 왕이 정권을 잡은 후, 포로 귀환을 허락(에스라 1:1).귀환 시기:스룹바벨의 귀환 – 성전 재건에스라의 귀환 – 율법 교육과 공동체 정비느헤미야의 귀환 – 성벽 재건📌 책의 구성과 흐름지도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