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에스라가 하나님의 성전 앞에 엎드려 울며 기도하여 죄를 자복할 때에 많은 백성이 크게 통곡하매 이스라엘 중에서 백성의 남녀와 어린 아이의 큰 무리가 그 앞에 모인지라

    2   엘람 자손 중 여히엘의 아들 스가냐가 에스라에게 이르되 우리가 우리 하나님께 범죄하여 이 땅 이방 여자를 맞이하여 아내로 삼았으나 이스라엘에게 아직도 소망이 있나니

    3   곧 내 주의 교훈을 따르며 우리 하나님의 명령을 떨며 준행하는 자의 가르침을 따라 이 모든 아내와 그들의 소생을 다 내보내기로 우리 하나님과 언약을 세우고 율법대로 행할 것이라

     

    4   이는 당신이 주장할 일이니 일어나소서 우리가 도우리니 힘써 행하소서 하니라

    5   이에 에스라가 일어나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온 이스라엘에게 이 말대로 행하기를 맹세하게 하매 무리가 맹세하는지라

    6   이에 에스라가 하나님의 성전 앞에서 일어나 엘리아십의 아들 여호하난의 방으로 들어가니라 그가 들어가서 사로잡혔던 자들의 죄를 근심하여 음식도 먹지 아니하며 물도 마시지 아니하더니

     

    7   유다와 예루살렘에 사로잡혔던 자들의 자손들에게 공포하기를 너희는 예루살렘으로 모이라

    8   누구든지 방백들과 장로들의 훈시를 따라 삼일 내에 오지 아니하면 그의 재산을 적몰하고 사로잡혔던 자의 모임에서 쫓아내리라 하매

    본문 요약: 에스라 10:1–8

    이 본문은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율법을 어기고 이방 여인들과 결혼한 죄를 자복하고 회개하는 장면입니다. 에스라는 백성 앞에서 울며 기도하고, 스가냐는 회개의 길을 제시하며 언약을 세울 것을 제안합니다. 백성은 이에 동의하고, 에스라는 금식하며 회개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예루살렘에 모이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본문 주해

    1. 죄의 자각과 공동체적 회개

    개혁신앙은 인간의 전적 타락을 강조합니다. 에스라의 눈물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함 앞에서 죄를 깊이 인식한 결과입니다. 백성 전체가 함께 통곡하는 모습은 공동체적 회개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교회가 함께 죄를 자각하고 회개해야 함을 상징합니다.

    2. 말씀 중심의 회복

    스가냐는 “내 주의 교훈을 따르며…율법대로 행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개혁신앙은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을 강조하며, 회복의 기준은 인간의 감정이나 문화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이방 여인과의 결혼은 단순한 문화적 문제가 아니라, 신앙의 순수성을 해치는 영적 타락이었습니다.

    3. 언약의 갱신

    하나님과의 언약을 새롭게 세운다는 것은 단순한 결심이 아니라, 삶의 방향을 바꾸는 신앙적 결단입니다. 개혁신앙은 언약신학을 중심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이해하며, 언약의 갱신은 회개와 순종의 열매로 나타납니다.

    4. 지도자의 책임과 백성의 순종

    에스라는 지도자로서 회개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백성은 그를 도와 함께 행동합니다. 이는 교회 안에서 목회자와 성도 간의 협력과 책임을 보여줍니다. 개혁신앙은 모든 성도가 제사장이라는 만인제사장직을 강조하지만, 동시에 질서 있는 지도력을 존중합니다.


    묵상과 적용

    1. 우리 시대의 ‘이방 여인’은 무엇인가?

    오늘날 교회와 성도는 세속적 가치, 물질주의, 자기중심적 신앙과 같은 ‘이방 여인’과 결합하고 있지는 않은가?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리는 요소들을 분별하고, 그것을 끊어내는 결단이 필요합니다.

    2. 눈물의 기도는 살아있는 신앙의 증거

    에스라의 기도는 형식이 아니라 진심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얼마나 하나님 앞에서 눈물로 기도하고 있는가? 회개는 감정적 표현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죄를 깊이 인식하고 돌이키는 영적 반응입니다.

    3. 공동체적 회개와 회복의 중요성

    개인의 회개도 중요하지만, 교회 공동체가 함께 죄를 자각하고 회개하는 것이 진정한 회복의 시작입니다. 교회는 세상의 빛과 소금으로서, 거룩함을 회복해야 합니다.

    4. 말씀 중심의 삶으로 돌아가기

    스가냐의 말처럼, 회복은 말씀으로 돌아가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성경을 삶의 기준으로 삼고, 하나님의 뜻에 따라 결단하는 것이 진정한 개혁입니다.

    5. 지도자의 영적 민감성과 금식의 모범

    에스라는 금식하며 죄를 근심합니다. 오늘날 교회 지도자들은 영적 민감성을 가지고, 백성의 죄를 함께 짊어지고 기도해야 합니다. 금식은 단순한 종교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행위입니다.

    6. 결단과 행동의 신앙

    백성은 단순히 감동받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아내와 자녀를 내보내는 결단을 합니다. 오늘날 신앙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증명되어야 합니다. 회개는 삶의 방향을 바꾸는 실제적 결단입니다.


    결론

    에스라 10장 1~8절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오늘날 교회와 성도에게 주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개혁신앙의 핵심인 말씀 중심, 언약의 갱신, 공동체적 회개, 지도자의 책임, 그리고 실천적 신앙이 이 본문에 담겨 있습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다시금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말씀으로 돌아가며, 공동체와 함께 거룩함을 회복하는 길로 나아가야 합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