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이 일 후에 방백들이 내게 나아와 이르되 이스라엘 백성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이 이 땅 백성들에게서 떠나지 아니하고 가나안 사람들과 헷 사람들과 브리스 사람들과 여부스 사람들과 암몬 사람들과 모압 사람들과 애굽 사람들과 아모리 사람들의 가증한 일을 행하여
    2   그들의 딸을 맞이하여 아내와 며느리로 삼아 거룩한 자손이 그 지방 사람들과 서로 섞이게 하는데 방백들과 고관들이 이 죄에 더욱 으뜸이 되었다 하는지라
    3   내가 이 일을 듣고 속옷과 겉옷을 찢고 머리털과 수염을 뜯으며 기가 막혀 앉으니
    4   이에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말씀으로 말미암아 떠는 자가 사로잡혔던 이 사람들의 죄 때문에 다 내게로 모여오더라 내가 저녁 제사 드릴 때까지 기가 막혀 앉았더니
    5   저녁 제사를 드릴 때에 내가 근심 중에 일어나서 속옷과 겉옷을 찢은 채 무릎을 꿇고 나의 하나님 여호와를 향하여 손을 들고
    6   말하기를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부끄럽고 낯이 뜨거워서 감히 나의 하나님을 향하여 얼굴을 들지 못하오니 이는 우리 죄악이 많아 정수리에 넘치고 우리 허물이 커서 하늘에 미침이니이다
    7   우리 조상들의 때로부터 오늘까지 우리의 죄가 심하매 우리의 죄악으로 말미암아 우리와 우리 왕들과 우리 제사장들을 여러 나라 왕들의 손에 넘기사 칼에 죽으며 사로잡히며 노략을 당하며 얼굴을 부끄럽게 하심이 오늘날과 같으니이다
    8   이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잠시 동안 은혜를 베푸사 얼마를 남겨 두어 피하게 하신 우리를 그 거룩한 처소에 박힌 못과 같게 하시고 우리 하나님이 우리 눈을 밝히사 우리가 종노릇 하는 중에서 조금 소생하게 하셨나이다

    본문 주해

    1절 - 2절: 이스라엘의 죄악

    "방백들이 내게 나아와 이르되 이스라엘 백성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이 이 땅 백성들에게서 떠나지 아니하고…"
    에스라는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민족들과의 결혼을 통해 부정한 관계를 맺고, 이로 인해 거룩한 자손이 더럽혀졌다는 사실을 듣고 충격을 받습니다. 이 문제는 단순한 민족적 구별을 넘어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불순종이자 그들의 영적 타락을 의미합니다. 특히 "방백들과 고관들"이 이 죄에 더 크게 연루되었다는 점은, 지도자들이 죄악의 원인이 되어 민족 전체를 부패시켰다는 심각성을 강조합니다.

    개혁 신학적 관점에서: 구약에서 하나님은 그의 백성에게 다른 민족과의 혼인을 금지하셨습니다. 이는 단순한 민족적 차별을 넘어,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지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다른 민족들과의 결혼은 종종 우상 숭배와 다른 신을 섬기는 길로 이끌었고, 이는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성결을 잃게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3절 - 4절: 에스라의 슬픔

    "내가 이 일을 듣고 속옷과 겉옷을 찢고…"
    에스라는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듣고 깊은 슬픔에 빠지며, 자기 자신을 깊은 절망 속에서 쥐고 있습니다. 속옷과 겉옷을 찢고 머리털과 수염을 뜯는 등, 당시 이스라엘 문화에서 이러한 행위는 큰 애통과 회개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표현이었습니다.

    개혁 신학적 관점에서: 성경에서 속옷과 겉옷을 찢는 행위는 하나님의 심판과 분노에 대한 깊은 슬픔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죄를 고백하고 회개하는 모습으로, 인간이 하나님의 거룩한 법을 위반했을 때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중요한 신앙적 태도입니다.

    5절 - 6절: 에스라의 고백

    "내가 근심 중에 일어나서 속옷과 겉옷을 찢은 채…"
    에스라는 하나님을 향해 손을 들고, 자신의 부끄러움을 고백합니다. 그는 "우리 죄악이 많아 정수리에 넘치고"라고 하며, 이스라엘의 죄가 너무나 심각하여 하늘에 닿았음을 고백합니다.

    개혁 신학적 관점에서: 에스라는 자신을 포함한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인정하며 그 죄가 하나님의 거룩한 법과 멀어졌음을 고백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의로움과 이스라엘의 불순종을 대비시키며, 하나님의 징계를 받는 것이 정당하다는 사실을 인정합니다. 구약에서의 죄의 심각성은 종종 "하늘에 미침"으로 표현되며, 이는 죄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완전히 깨뜨린 상태를 나타냅니다.

    7절 - 8절: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

    "이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잠시 동안 은혜를 베푸사…"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은혜를 베푸시어 남겨두신 자들이 피하게 하셨고, 그들이 여전히 소망을 가지고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셨다는 에스라의 고백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한 처소에 "박힌 못"과 같이,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속한 존재로 남게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개혁 신학적 관점에서: 이 구절은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죄악에도 불구하고 은혜를 베푸시어 그들을 다시 일으키고 구원하셨습니다. 이는 구약에서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향한 인내와 사랑을 보여주시는 중요한 부분이며, 신약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의 그림자이기도 합니다.

    본문 정리

    에스라 9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민족들과의 혼인으로 인해 하나님의 법을 어기고 타락했음을 고백하는 내용입니다. 에스라는 이 사실을 듣고 깊은 슬픔에 빠져 자신의 죄를 포함한 이스라엘의 죄를 하나님께 고백합니다. 그는 이 죄가 너무나 심각하여 하늘에 미쳤다고 고백하며, 하나님의 공의와 자신의 죄를 인정합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잠시 동안 은혜를 베푸셔서 이스라엘 백성이 소망을 가지게 하셨습니다.

    현대인에게 이 구절은 다음과 같은 교훈을 줍니다:

    1. 죄에 대한 민감성: 에스라는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듣고 슬퍼하며 회개합니다. 우리는 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하나님의 거룩함을 잃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2. 회개와 고백의 중요성: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께 회개하는 것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3. 하나님의 은혜: 우리도 죄를 지었으나 하나님은 은혜를 베푸셔서 우리에게 구원의 소망을 주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크신 사랑을 경험하는 길입니다.

    본문 묵상

    이 본문을 묵상하면서, 우리는 우리 삶 속에서 얼마나 하나님의 거룩함을 어기고 살아왔는지 돌아보게 됩니다. 에스라가 경험한 것처럼, 우리도 때로는 죄와 타협하고 하나님의 뜻을 무시하며 살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그럴 때에도 하나님의 은혜는 여전히 우리에게 향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회개하고 돌아오기를 기다리십니다. 우리가 죄를 고백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다시 일으켜 주십니다.

    오늘날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 은혜를 더욱 풍성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모든 죄를 대신 지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써, 우리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셨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고,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날마다 경험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죄에 대한 민감함을 가지고 하나님 앞에서 진지하게 회개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늘 기억하고 감사하는 삶을 살아가길 기도합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