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 읽기

    1   이 일 후에 바사 왕 아닥사스다가 왕위에 있을 때에 에스라라 하는 자가 있으니라 그는 스라야의 아들이요 아사랴의 손자요 힐기야의 증손이요
    2   살룸의 현손이요 사독의 오대 손이요 아히둡의 육대 손이요
    3   아마랴의 칠대 손이요 아사랴의 팔대 손이요 므라욧의 구대 손이요


    4   스라히야의 십대 손이요 웃시엘의 십일대 손이요 북기의 십이대 손이요
    5   아비수아의 십삼대 손이요 비느하스의 십사대 손이요 엘르아살의 십오대 손이요 대제사장 아론의 십육대 손이라
    6   이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올라왔으니 그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주신 모세의 율법에 익숙한 학자로서 그의 하나님 여호와의 도우심을 입음으로 왕에게 구하는 것은 다 받는 자이더니


    7   아닥사스다 왕 제칠년에 이스라엘 자손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노래하는 자들과 문지기들과 느디님 사람들 중에 몇 사람이 예루살렘으로 올라올 때에
    8   이 에스라가 올라왔으니 왕의 제칠년 다섯째 달이라
    9   첫째 달 초하루에 바벨론에서 길을 떠났고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을 입어 다섯째 달 초하루에 예루살렘에 이르니라


    10   에스라가 여호와의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며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었더라

    본문 주해

    에스라서 7장에서는 에스라가 누구인지, 그의 가계 배경, 그리고 그가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와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율법을 가르치는 사명을 맡게 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1. 에스라의 가계 (1-5절)

    에스라의 가계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는 대제사장 아론의 후손으로, 하나님께서 그의 계보를 특별히 보존하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에스라가 율법을 가르치는 권위와 자격을 가지고 있다는 신적 증거입니다. 에스라의 출신 내력을 통해서 하나님이 그를 통해 이스라엘의 영적 회복을 이루시려는 계획을 엿볼 수 있습니다.

    • "대제사장 아론의 후손" (5절): 아론은 이스라엘 제사제도의 창시자이자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인물입니다. 에스라는 이 아론의 후손으로서 제사장의 직분을 상속받았습니다. 이는 그가 율법을 가르칠 자격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2. 에스라의 역할 (6절)

    에스라는 단순한 학자가 아니라, “모세의 율법에 익숙한 학자”로서 이스라엘을 재건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는 율법을 연구하고, 그 율법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르칠 사명을 받은 자입니다.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것은 단순히 귀환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의 영적 갱신과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의 일환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에스라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진리의 율법을 다시 상기시키고, 그들이 하나님 앞에서 올바르게 살도록 돕고자 하셨습니다.

    3. 에스라의 귀환과 하나님의 도우심 (7-10절)

    에스라는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기 위해 출발합니다. 그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으며 왕의 명령을 따라 예루살렘으로 향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선한 손”이 그를 돕고 있다는 언급은 에스라의 귀환이 하나님이 주도하는 일임을 강조합니다. 또한 그는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며"라는 결심을 가지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율법을 가르치기로 결심합니다. 에스라의 귀환과 그의 결심은 단순히 율법의 전달에 그치지 않고, 이스라엘 백성의 삶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사건임을 나타냅니다.

    본문 정리

    에스라서 7장은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율법을 가르치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이 본문은 크게 세 가지 중요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에스라의 신분과 가계: 에스라는 대제사장 아론의 후손으로, 율법에 대해 깊은 지식을 가진 학자입니다. 그는 이스라엘을 영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선택받은 인물입니다.
    2. 에스라의 역할: 에스라는 율법을 연구하고 그것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율법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백성들이 그 율법을 따라 살아가도록 돕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3. 하나님의 도우심: 에스라는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을 입고 왕의 명령을 받아 예루살렘으로 돌아옵니다. 하나님은 그의 귀환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회복시키고자 하셨습니다.

    본문 묵상

    “하나님의 율법을 연구하고 준행하는 삶”
    에스라는 하나님의 율법을 연구하고 그것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르칠 결심을 합니다. 이 결심은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삶의 변화와 실제적인 실천을 촉구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따르고, 그의 뜻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는다면, 그것은 단순히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힘이 됩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에 의존하는 삶”
    에스라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도우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예루살렘으로 떠났습니다. 하나님의 선한 손이 그를 인도하셨다는 것은 그가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길을 걸을 때, 하나님이 함께 하시며 도와주신다는 신뢰의 표현입니다. 우리도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고 우리를 돕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살아가야 합니다. 어려운 길을 걸을 때, 하나님의 도우심을 신뢰하고 의지하며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율법을 가르친 에스라처럼 우리도 말씀을 따라 살자”
    에스라는 율법을 단순히 지식으로 소유한 것이 아니라, 그 율법을 연구하고, 준행하며,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것을 가르쳤습니다. 우리는 성경의 가르침을 단지 지식으로만 가지고 있을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생활에 적용해야 합니다. 우리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결론

    에스라서 7장은 에스라의 귀환과 그가 맡은 사명을 통해 하나님의 율법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에스라를 통해 이스라엘을 영적으로 회복시키고, 그의 말씀을 따라 살도록 돕기 위해 일하셨습니다. 우리가 이 본문에서 배울 점은 율법을 단순히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로 삶에 적용하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의지하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에스라의 삶과 사역을 통해 우리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말씀을 삶에 실천하는 자세를 배우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하며 나아가야 합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