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본문읽기 (에스더 4:1-17)

    모르드개의 통곡과 에스더의 응답

    1 모르드개가 이 모든 일을 알고 자기의 옷을 찢고 굵은 베 옷을 입고 재를 뒤집어쓰고 성중에 나가서 대성 통곡하며
    2 대궐 문 앞까지 이르렀으니 굵은 베 옷을 입은 자는 대궐 문에 들어가지 못함이라
    3 왕의 명령과 조서가 각 지방에 이르매 유다인이 크게 애통하여 금식하며 울며 부르짖고 굵은 베 옷을 입고 재에 누운 자가 무수하더라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대화

    4 에스더의 시녀와 내시가 나아와 전하니 왕후가 매우 근심하여 입을 의복을 모르드개에게 보내어 그 굵은 베 옷을 벗기고자 하나 모르드개가 받지 아니하는지라
    5 에스더가 왕의 어명으로 자기에게 가까이 있는 내시 하닥을 불러 명령하여 모르드개에게 가서 이것이 무슨 일이며 무엇 때문인가 알아보라 하매
    6 하닥이 대궐 문 앞 성 중 광장에 있는 모르드개에게 이르니
    7 모르드개가 자기가 당한 모든 일과 하만이 유다인을 멸하려고 왕의 금고에 바치기로 한 은의 정확한 액수를 하닥에게 말하고
    8 또 유다인을 진멸하라고 수산 궁에서 내린 조서 초본을 하닥에게 주어 에스더에게 보여 알게 하고 또 그에게 부탁하여 왕에게 나아가서 그 앞에서 자기 민족을 위하여 간절히 구하라 하니
    9 하닥이 돌아와 모르드개의 말을 에스더에게 알리매

    에스더의 갈등과 모르드개의 권면

    10 에스더가 하닥에게 이르되 너는 모르드개에게 전하기를
    11 왕의 신하들과 왕의 각 지방 백성이 다 알거니와 남녀를 막론하고 부름을 받지 아니하고 안뜰에 들어가서 왕에게 나가면 오직 죽이는 법이요 왕이 그 자에게 금 규를 내밀어야 살 것이라 이제 내가 부름을 입어 왕에게 나가지 못한 지가 이미 삼십 일이라 하라 하니라
    12 그가 에스더의 말을 모르드개에게 전하매
    13 모르드개가 그를 시켜 에스더에게 회답하되 너는 왕궁에 있으니 모든 유다인 중에 홀로 목숨을 건지리라 생각하지 말라
    14 이 때에 네가 만일 잠잠하여 말이 없으면 유다인은 다른 데로 말미암아 놓임과 구원을 얻으려니와 너와 네 아버지 집은 멸망하리라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 하니

    에스더의 결단

    15 에스더가 모르드개에게 회답하여 이르되
    16 당신은 가서 수산에 있는 유다인을 다 모으고 나를 위하여 금식하되 밤낮 삼 일을 먹지도 말고 마시지도 마소서 나도 나의 시녀와 더불어 이렇게 금식한 후에 규례를 어기고 왕에게 나아가리니 죽으면 죽으리이다 하니라
    17 모르드개가 가서 에스더가 명령한 대로 다 행하니라


    🔍 본문 분석

    에스더 4장은 하만의 계략으로 유다 민족 전체가 말살될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심리와 행동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장입니다. 절망과 통곡으로 시작된 이 장은 한 여인의 용기 있는 결단으로 마무리되며, 역사의 반전을 준비하는 장면이 펼쳐집니다.

    모르드개는 단순한 비탄에 머무르지 않고, 에스더에게 ‘왕후가 된 이유’를 묻습니다. 그는 에스더에게 민족의 위기를 알리고, 침묵하지 말라 요청합니다. 에스더는 그동안 감춰왔던 자신의 정체와 운명 앞에서 갈등하지만, 결국 “죽으면 죽으리이다”라는 고백과 함께 나아갈 결단을 내립니다.


    맥락 이해

    에스더서 전체에서 4장은 극적인 전환점입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위치에 있던 에스더가 처음으로 자신의 정체성과 부르심을 인식하고 주도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시점입니다.
    하나님이란 이름이 등장하지 않지만, 모든 대화와 사건 속에서 하나님의 섭리가 강하게 흐르고 있습니다.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는 모르드개의 말은 하나님의 타이밍과 주권을 전제한 믿음의 언어입니다.


    핵심 요지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자리에 서서 순종할 때, 역사의 방향이 달라진다.”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하나님은 이름 없이 일하시는 분입니다.
    • 하나님의 섭리는 숨겨져 있어도 결코 멈추지 않습니다.
    • 하나님은 우리를 역사 속 ‘이 때’를 위해 준비시키시는 분입니다.
    • 하나님은 순종을 통해 구원을 이루시는 분입니다.

    우리에게 주는 교훈

    이 시대에도 우리에게는 ‘이 때’가 있습니다.
    믿음의 자리를 회피하고 싶을 때, 나 하나쯤이야 하며 조용히 물러서고 싶을 때, 하나님은 우리를 부르십니다.
    “지금이 네가 믿음을 행동으로 보여야 할 때다.”
    우리는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아야 하고, 사랑을 침묵하지 않아야 합니다. 두려움은 사라지지 않을 수 있지만, 은혜는 우리를 밀어올려 ‘죽으면 죽으리이다’의 결단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오늘 본문이 나에게 주는 한 문장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


    적용과 실천

    • 지금 내가 피하고 있는 ‘하나님의 자리’는 어디일까?
    • 혹시 나는 에스더처럼 ‘삼십 일 째’ 하나님의 부르심을 기다리며 외면하고 있지는 않은가?
    • 내가 중보하며 금식하며, 누군가를 위해 “죽으면 죽으리이다” 하고 기도할 자리는 어디인가?
      → 이번 주, 용기를 내어 내가 외면했던 자리에서 한 걸음만 내딛자. “죽으면 죽으리이다”라는 심정으로.

    🙏 기도문

    하나님,
    모르드개처럼 울부짖는 세상의 소리를 듣게 하소서.
    에스더처럼 믿음의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용기를 주소서.
    두려움은 여전하지만, 은혜로 순종하게 하소서.
    내가 처한 자리가 하나님의 부르심임을 기억하게 하시고,
    이 때를 위함이라는 믿음으로 나아가게 하소서.
    죽으면 죽으리이다 고백하며, 주의 뜻을 따르겠습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말씀의 종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