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4   무리가 여호와의 전에 헌금한 돈을 꺼낼 때에 제사장 힐기야가 모세가 전한 여호와의 율법책을 발견하고
    15   힐기야가 서기관 사반에게 말하여 이르되 내가 여호와의 전에서 율법책을 발견하였노라 하고 힐기야가 그 책을 사반에게 주매
    16   사반이 책을 가지고 왕에게 나아가서 복명하여 이르되 왕께서 종들에게 명령하신 것을 종들이 다 준행하였나이다


    17   또 여호와의 전에서 발견한 돈을 쏟아서 감독자들과 일꾼들에게 주었나이다 하고
    18   서기관 사반이 또 왕에게 아뢰어 이르되 제사장 힐기야가 내게 책을 주더이다 하고 사반이 왕 앞에서 그것을 읽으매
    19   왕이 율법의 말씀을 듣자 곧 자기 옷을 찢더라


    20   왕이 힐기야와 사반의 아들 아히감과 미가의 아들 압돈과 서기관 사반과 왕의 시종 아사야에게 명령하여 이르되
    21   너희는 가서 나와 및 이스라엘과 유다의 남은 자들을 위하여 이 발견한 책의 말씀에 대하여 여호와께 물으라 우리 조상들이 여호와의 말씀을 지키지 아니하고 이 책에 기록된 모든 것을 준행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쏟으신 진노가 크도다 하니라
    22   이에 힐기야와 왕이 보낸 사람들이 여선지자 훌다에게로 나아가니 그는 하스라의 손자 독핫의 아들로서 예복을 관리하는 살룸의 아내라 예루살렘 둘째 구역에 살았더라 그들이 그에게 이 뜻을 전하매


    23   훌다가 그들에게 이르되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너희는 너희를 내게 보낸 사람에게 말하라 하시니라
    24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내가 이 곳과 그 주민에게 재앙을 내리되 곧 유다 왕 앞에서 읽은 책에 기록된 모든 저주대로 하리니
    25   이는 이 백성들이 나를 버리고 다른 신들에게 분향하며 그의 손의 모든 행위로 나의 노여움을 샀음이라 그러므로 나의 노여움을 이 곳에 쏟으매 꺼지지 아니하리라 하라 하셨느니라


    26   너희를 보내어 여호와께 묻게 한 유다 왕에게는 너희가 이렇게 전하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네가 들은 말을 의논하건대
    27   내가 이 곳과 그 주민을 가리켜 말한 것을 네가 듣고 마음이 연약하여 하나님 앞 곧 내 앞에서 겸손하여 옷을 찢고 통곡하였으므로 나도 네 말을 들었노라 여호와가 말하였느니라
    28   그러므로 내가 네게 너의 조상들에게 돌아가서 평안히 묘실로 들어가게 하리니 내가 이 곳과 그 주민에게 내리는 모든 재앙을 네가 눈으로 보지 못하리라 하셨느니라 이에 사신들이 왕에게 복명하니라

    29   왕이 사람을 보내어 유다와 예루살렘의 모든 장로를 불러 모으고
    30   여호와의 전에 올라가매 유다 모든 사람과 예루살렘 주민들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모든 백성이 노소를 막론하고 다 함께 한지라 왕이 여호와의 전 안에서 발견한 언약책의 모든 말씀을 읽어 무리의 귀에 들려 주고
    31   왕이 자기 처소에 서서 여호와 앞에서 언약을 세우되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여 여호와를 순종하고 그의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이 책에 기록된 언약의 말씀을 이루리라 하고


    32   예루살렘과 베냐민에 있는 자들이 다 여기에 참여하게 하매 예루살렘 주민이 하나님 곧 그의 조상들의 하나님의 언약을 따르니라
    33   이와 같이 요시야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속한 모든 땅에서 가증한 것들을 다 제거하여 버리고 이스라엘의 모든 사람으로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게 하였으므로 요시야가 사는 날에 백성이 그들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께 복종하고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1. 본문 요약정리

    (율법책의 발견과 언약의 갱신)

    요시야가 성전 수리를 진행하던 중, 제사장 힐기야가 하나님의 전에서 모세가 전한 여호와의 율법책을 발견하였다(14절).
    그는 이 사실을 서기관 사반에게 알리고, 사반은 그 책을 왕에게 가져갔다(15–16절).
    사반은 성전 헌금이 충실히 사용되고 있음을 보고한 뒤,
    힐기야가 발견한 책을 왕 앞에서 낭독하였다(17–18절).

    왕은 그 율법의 말씀을 듣자마자 옷을 찢으며 통회하였다(19절).
    그는 여호와의 말씀을 지키지 않은 조상들의 죄를 깨닫고,
    “이 책의 말씀에 대하여 여호와께 물으라” 명령하였다(20–21절).
    그는 자신과 백성을 대신하여 하나님의 뜻을 알고자 선지자의 음성을 구했다.

    이에 제사장 힐기야와 신하들이 예언자 훌다를 찾아갔다(22절).
    훌다는 여호와의 말씀을 전하며,
    이 땅에 기록된 대로 재앙이 임할 것이라 선포했다(23–25절).
    그 이유는 백성이 하나님을 버리고 다른 신을 섬겼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녀는 요시야에게 하나님의 자비로운 응답을 전했다.
    요시야가 겸손히 옷을 찢고 통곡하였으므로,
    하나님께서 그의 기도를 들으시고,
    그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재앙을 보지 않게 하시겠다고 약속하셨다(26–28절).

    이후 요시야는 유다와 예루살렘의 모든 장로들을 불러 모았다(29절).
    그는 여호와의 전에 올라가,
    제사장과 레위 사람, 백성의 노소를 막론하고 율법책의 모든 말씀을 낭독하였다(30절).
    그는 하나님 앞에서 언약을 세워
    “마음과 목숨을 다해 여호와께 순종하고,
    그의 계명과 율례를 지켜 행하겠다”고 서원하였다(31절).

    예루살렘과 베냐민의 모든 백성도 이 언약에 참여하였고(32절),
    요시야는 이스라엘 전역의 우상들을 제거하여,
    온 백성으로 하여금 여호와만 섬기게 하였다(33절).
    그가 사는 날 동안, 백성은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떠나지 않았다.


    2. 본문 묵상

    (말씀의 발견이 곧 부흥의 시작이다)

    요시야 시대의 개혁은 단순한 제도나 정치의 변화가 아니라,
    말씀의 회복으로부터 시작된 영적 각성 운동이었다.
    성전이 정결해지고 헌금이 모이고, 수리 작업이 이루어졌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이 일어났다 — “말씀이 다시 발견된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하나님의 율법은 잊혀져 있었다.
    예배는 형식만 남았고, 백성의 마음은 하나님에게서 멀어져 있었다.
    그런데 성전의 먼지 속에서 말씀의 책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곧 하나님 자신이 다시 백성에게 찾아오신 사건이었다.

    요시야는 말씀을 듣고 옷을 찢었다.
    이는 단순한 슬픔이 아니라 죄를 깨닫는 회개의 표식이었다.
    그는 자신과 백성이 얼마나 멀리 하나님을 떠났는지를 깨달았다.
    하나님의 진노가 크다는 사실 앞에서 그는 무릎을 꿇었다.
    그러나 그의 겸손한 마음을 하나님은 기쁘게 받으셨다.

    이후의 모든 개혁은 바로 이 “말씀에 대한 반응”에서 비롯되었다.
    요시야는 말씀을 읽고, 듣고, 순종하며, 백성에게 낭독하였다.
    말씀이 회복될 때, 사람들의 마음도 회복되었다.
    그 결과 유다는 다시 한 번 언약 공동체로 서게 되었다.


    3. 본문이 주는 교훈

    1️⃣ 말씀은 잃어버려도, 하나님은 잃지 않으신다

    율법책이 오랫동안 사라져 있었지만,
    하나님은 잊히지 않으셨다.
    때가 되자 그 말씀은 다시 빛 속으로 드러났다.
    하나님은 그의 말씀으로 다시 우리를 부르신다.

    2️⃣ 진정한 개혁은 회개에서 시작된다

    요시야의 옷 찢음은 진심이었다.
    그는 다른 사람의 죄를 지적하기 전에 먼저 자신을 돌아보았다.
    참된 부흥은 지도자의 회개에서 시작된다.

    3️⃣ 하나님은 겸손한 마음을 외면하지 않으신다

    훌다는 요시야에게 “네가 옷을 찢고 통곡하였으므로,
    내가 네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27절).
    하나님은 능력이 아니라 겸손을 보신다.

    4️⃣ 말씀 중심의 예배가 공동체를 새롭게 한다

    요시야는 온 백성을 모아 말씀을 낭독하고 언약을 새롭게 했다.
    말씀을 함께 듣는 교회는 다시 방향을 찾는다.
    하나님 나라의 부흥은 언제나 말씀의 회복에서 시작된다.

    5️⃣ 개혁은 말씀에 순종할 때 완성된다

    요시야는 우상들을 제거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백성으로 하여금 말씀에 순종하는 삶으로 이끌었다.
    그의 개혁은 단순한 정화가 아니라, 순종의 회복이었다.


    4. 우리 시대의 적용

    오늘날 우리 시대의 교회와 사회는
    요시야 시대처럼 말씀이 희귀한 시대를 살고 있다.
    성전은 존재하지만, 말씀의 권위는 약화되었고,
    예배는 많지만 회개는 사라졌다.

    그러나 하나님은 여전히 말씀을 통해 부흥을 일으키신다.
    우리의 가정과 교회 속에서도
    “잃어버린 말씀의 책”이 다시 열려야 한다.
    성경이 다시 우리의 중심으로 돌아올 때,
    하나님의 영이 다시 교회를 살리신다.

    또한, 요시야처럼 말씀 앞에서 옷을 찢는 겸손한 마음이 필요하다.
    말씀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이다.
    말씀을 읽고 듣는 것으로 멈추지 말고,
    그 말씀에 순종하여 언약을 새롭게 하는 삶으로 나아가야 한다.


    한문장:

    “요시야는 말씀을 발견하고 회개하였으며,
    그 말씀을 붙잡고 언약을 새롭게 함으로써 참된 부흥을 이루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