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요시야가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팔 세라 예루살렘에서 삼십일 년 동안 다스리며
    2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여 그의 조상 다윗의 길로 걸으며 좌우로 치우치지 아니하고
    3   아직도 어렸을 때 곧 왕위에 있은 지 팔 년에 그의 조상 다윗의 하나님을 비로소 찾고 제십이년에 유다와 예루살렘을 비로소 정결하게 하여 그 산당들과 아세라 목상들과 아로새긴 우상들과 부어 만든 우상들을 제거하여 버리매


    4   무리가 왕 앞에서 바알의 제단들을 헐었으며 왕이 또 그 제단 위에 높이 달린 태양상들을 찍고 또 아세라 목상들과 아로새긴 우상들과 부어 만든 우상들을 빻아 가루를 만들어 제사하던 자들의 무덤에 뿌리고
    5   제사장들의 뼈를 제단 위에서 불살라 유다와 예루살렘을 정결하게 하였으며
    6   또 므낫세와 에브라임과 시므온과 납달리까지 사면 황폐한 성읍들에도 그렇게 행하여


    7   제단들을 허물며 아세라 목상들과 아로새긴 우상들을 빻아 가루를 만들며 온 이스라엘 땅에 있는 모든 태양상을 찍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더라
    8   요시야가 왕위에 있은 지 열여덟째 해에 그 땅과 성전을 정결하게 하기를 마치고 그의 하나님 여호와의 전을 수리하려 하여 아살랴의 아들 사반과 시장 마아세야와 서기관 요아하스의 아들 요아를 보낸지라
    9   그들이 대제사장 힐기야에게 나아가 전에 하나님의 전에 헌금한 돈을 그에게 주니 이 돈은 문을 지키는 레위 사람들이 므낫세와 에브라임과 남아 있는 모든 이스라엘 사람과 온 유다와 베냐민과 예루살렘 주민들에게서 거둔 것이라


    10   그 돈을 여호와의 전 공사를 감독하는 자들의 손에 넘기니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 있는 일꾼들에게 주어 그 전을 수리하게 하되
    11   곧 목수들과 건축하는 자들에게 주어 다듬은 돌과 연접하는 나무를 사며 유다 왕들이 헐어버린 성전들을 위하여 들보를 만들게 하매
    12   그 사람들이 성실하게 그 일을 하니라 그의 감독들은 레위 사람들 곧 므라리 자손 중 야핫과 오바댜요 그핫 자손들 중 스가랴와 무술람이라 다 그 일을 감독하고 또 악기에 익숙한 레위 사람들이 함께 하였으며


    13   그들은 또 목도꾼을 감독하며 모든 공사 담당자를 감독하고 어떤 레위 사람은 서기와 관리와 문지기가 되었더라


    1. 본문 요약정리

    (요시야의 즉위, 신앙의 성장, 우상 제거, 성전 수리)

    요시야는 여덟 살에 왕위에 올라 예루살렘에서 31년간 다스렸다(1절).
    그는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며, 그의 조상 다윗의 길로 걸었고 좌우로 치우치지 않았다(2절).

    그는 아직 어린 시절, 즉 왕위에 오른 지 8년째 되던 해에(나이 16세)
    그의 조상 다윗의 하나님을 진심으로 찾기 시작하였다(3절).
    그리고 12년째(나이 20세)에는 본격적으로 유다와 예루살렘을 정결케 하며,
    산당, 아세라 목상, 아로새긴 우상, 부어 만든 우상들을 모두 제거하였다.

    요시야의 개혁은 단지 수도 예루살렘에 국한되지 않았다.
    그는 바알의 제단들을 헐고, 태양상들을 찍으며,
    아세라 목상과 우상들을 가루로 만들어 제사하던 자들의 무덤에 뿌렸다(4절).
    심지어 제사장들의 뼈를 제단 위에서 불태우며 그 땅을 정결케 하였다(5절).

    그는 개혁의 범위를 므낫세, 에브라임, 시므온, 납달리 지역까지 확장하여,
    폐허가 된 이스라엘 북부 성읍들에서도 동일하게 우상을 제거하였다(6절).
    그는 모든 태양상을 찍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7절).
    이는 전국적인 우상 청산 운동이었다.

    그 후, 요시야가 왕위에 있은 지 18년째(나이 26세)에,
    성전과 그 땅을 정결하게 한 후 하나님의 성전을 수리하는 일에 착수했다(8절).
    그는 신하 사반, 마아세야, 요아를 보내어 성전 수리를 감독하게 하였다.

    레위 사람들은 각 지파에서 헌금과 세금을 거두어 그 자금을 마련하였다(9절).
    이 돈은 여호와의 전 공사를 감독하는 자들에게 전달되어,
    목수, 석공, 건축자들이 성전의 들보와 기둥, 벽을 수리하는 데 사용되었다(10–11절).
    이들은 매우 성실하고 신실하게 그 일을 감당하였다(12절).
    그 감독들은 레위 사람들, 곧 므라리와 그핫 자손들이었으며,
    악기에 능한 레위 사람들도 함께 협력하였다.
    또한 문지기, 서기, 관리들도 각자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였다(13절).


    2. 본문 묵상

    (어린 나이의 믿음, 순결한 개혁, 그리고 말씀 회복의 시작)

    요시야의 개혁은 놀랍게도 어린 나이의 경건한 결단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불과 16세에 하나님을 찾기 시작했고,
    20세에는 나라의 우상을 제거하며 개혁의 선봉에 섰다.
    믿음은 나이의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순전함과 방향성의 문제임을 보여준다.

    요시야는 단순히 상징적인 개혁을 한 것이 아니라,
    온몸과 마음으로 우상을 짓밟고 하나님을 예배하는 땅으로 회복시키고자 했다.
    그의 개혁은 표면적인 종교행위가 아니라 영적 순결을 회복하는 운동이었다.
    그는 제단을 허물고, 태양상과 목상을 가루로 만들고,
    제사장들의 뼈를 태움으로써 우상숭배의 뿌리를 완전히 제거했다.

    그의 개혁은 전국적인 범위로 확장되었다.
    예루살렘뿐 아니라, 이미 앗수르에 멸망한 북이스라엘의 지역들(므낫세, 에브라임 등)까지도
    그의 정결 운동이 미쳤다.
    이는 하나님 나라의 영적 통합을 추구하는 신앙적 열망이었다.

    또한, 그는 성전을 수리함으로써 예배 회복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우상 청산은 부정의 제거이고, 성전 수리는 긍정의 회복이었다.
    그는 하나님께 드려야 할 예배가 다시 중심을 잡도록 준비했다.
    이제 이 과정 속에서 하나님의 율법책이 발견되며,
    그의 개혁은 영적 절정에 이르게 된다.


    3. 본문이 주는 교훈

    1️⃣ 참된 부흥은 개인의 회심에서 시작된다

    요시야의 개혁은 정치적 명령이 아니라,
    그가 “다윗의 하나님을 찾기 시작한” 한 청년의 회심에서 비롯되었다(3절).
    공동체의 부흥은 언제나 한 사람의 진실한 신앙 회복에서 시작된다.

    2️⃣ 죄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라

    요시야는 우상을 “빻아 가루를 만들어” 버렸다.
    반쪽짜리 회개, 타협적 신앙은 남은 죄의 불씨를 다시 일으킨다.
    죄는 남겨두지 말고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3️⃣ 예배의 회복이 곧 영적 재건의 시작이다

    성전 수리는 단순한 건축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상징한다.
    교회의 부흥과 개인의 회복은 결국 예배의 회복에서 시작된다.

    4️⃣ 젊은 세대의 순결한 믿음이 민족을 새롭게 한다

    요시야는 젊었으나, 하나님 앞에서는 성숙했다.
    그의 순전함은 타락한 시대에 하나님 나라의 새벽을 여는 등불이었다.

    5️⃣ 하나님은 성실한 자를 통해 일하신다

    성전 수리자들이 “성실하게 그 일을 행하였다”(12절)는 말은
    하나님께서 부흥의 일을 맡기실 때 성품과 신실함을 보신다는 뜻이다.


    4. 우리 시대의 적용

    오늘 우리의 시대에도 요시야의 개혁이 필요하다.
    겉으로는 신앙의 형식이 있지만,
    내면에는 우상과 세속이 자리잡은 교회와 개인의 현실 속에서
    다시 하나님을 찾는 순전한 회복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요시야의 나이는 어린 나이였지만,
    그의 믿음은 시대를 바꾸는 성숙한 결단이었다.
    오늘의 청년 세대와 교회 지도자들이
    그처럼 하나님을 진심으로 찾는다면,
    한국교회와 사회에도 영적 부흥의 새 시대가 열릴 것이다.

    또한, 요시야의 개혁은 “우상 제거”로 끝나지 않았다.
    그는 예배의 중심, 말씀의 중심으로 돌아가도록 나라를 이끌었다.
    오늘 우리 역시 삶의 중심을 말씀과 예배로 회복해야 한다.
    그때 하나님은 다시금 이 땅에 영적 회복의 바람을 불러일으키실 것이다.


    한문장:

    “요시야는 어린 나이에 하나님을 찾았고,
    죄의 뿌리를 제거하며 예배를 회복시킨 참된 개혁자였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