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본문읽기
1 요시야가 예루살렘에서 여호와께 유월절을 지켜 첫째 달 열넷째 날에 유월절 어린 양을 잡으니라
2 왕이 제사장들에게 그들의 직분을 맡기고 격려하여 여호와의 전에서 직무를 수행하게 하고
3 또 여호와 앞에 구별되어서 온 이스라엘을 가르치는 레위 사람에게 이르되 거룩한 궤를 이스라엘 왕 다윗의 아들 솔로몬이 건축한 전 가운데 두고 다시는 너희 어깨에 메지 말고 마땅히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와 그의 백성 이스라엘을 섬길 것이라
4 너희는 이스라엘 왕 다윗의 글과 다윗의 아들 솔로몬의 글을 준행하여 너희 족속대로 반열을 따라 스스로 준비하고
5 너희 형제 모든 백성의 족속의 서열대로 또는 레위 족속의 서열대로 성소에 서서
6 스스로 성결하게 하고 유월절 어린 양을 잡아 너희 형제들을 위하여 준비하되 여호와께서 모세를 통하여 전하신 말씀을 따라 행할지니라
7 요시야가 그 모인 모든 이를 위하여 백성들에게 자기의 소유 양 떼 중에서 어린 양과 어린 염소 삼만 마리와 수소 삼천 마리를 내어 유월절 제물로 주매
8 방백들도 즐거이 희생을 드려 백성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에게 주었고 하나님의 전을 주장하는 자 힐기야와 스가랴와 여히엘은 제사장들에게 양 이천육백 마리와 수소 삼백 마리를 유월절 제물로 주었고
9 또 레위 사람들의 우두머리들 곧 고나냐와 그의 형제 스마야와 느다넬과 또 하사뱌와 여이엘과 요사밧은 양 오천 마리와 수소 오백 마리를 레위 사람들에게 유월절 제물로 주었더라
10 이와 같이 섬길 일이 구비되매 왕의 명령을 따라 제사장들은 그들의 처소에 서고 레위 사람들은 그들의 반열대로 서고
11 유월절 양을 잡으니 제사장들은 그들의 손에서 피를 받아 뿌리고 또 레위 사람들은 잡은 짐승의 가죽을 벗기고
12 그 번제물을 옮겨 족속의 서열대로 모든 백성에게 나누어 모세의 책에 기록된 대로 여호와께 드리게 하고 소도 그와 같이 하고
13 이에 규례대로 유월절 양을 불에 굽고 그 나머지 성물은 솥과 가마와 냄비에 삶아 모든 백성들에게 속히 분배하고
14 그 후에 자기와 제사장들을 위하여 준비하니 이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이 번제와 기름을 저녁까지 드리므로 레위 사람들이 자기와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을 위하여 준비함이더라
15 아삽의 자손 노래하는 자들은 다윗과 아삽과 헤만과 왕의 선견자 여두둔이 명령한 대로 자기 처소에 있고 문지기들은 각 문에 있고 그 직무에서 떠날 것이 없었으니 이는 그의 형제 레위 사람들이 그들을 위하여 준비하였음이더라
16 이와 같이 당일에 여호와를 섬길 일이 다 준비되매 요시야 왕의 명령대로 유월절을 지키며 번제를 여호와의 제단에 드렸으며
17 그 때에 모인 이스라엘 자손이 유월절을 지키고 이어서 무교절을 칠 일 동안 지켰으니
18 선지자 사무엘 이후로 이스라엘 가운데서 유월절을 이같이 지키지 못하였고 이스라엘 모든 왕들도 요시야가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모인 온 유다와 이스라엘 무리와 예루살렘 주민과 함께 지킨 것처럼은 유월절을 지키지 못하였더라
19 요시야가 왕위에 있은 지 열여덟째 해에 이 유월절을 지켰더라
1. 본문 요약정리
(요시야가 주도한 역사적 유월절의 회복)
요시야는 예루살렘에서 첫째 달 열넷째 날, 여호와께 유월절을 지켰다(1절).
그는 제사장들에게 직분을 맡기고, 하나님께 충성스럽게 봉사하라고 격려했다(2절).
레위 사람들에게는 법궤를 성소 안에 두고, 다시는 어깨에 메지 말며
이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을 섬기라고 명령했다(3절).
그는 다윗과 솔로몬이 정한 규례대로 반열을 정하고, 각자의 자리를 지키게 했다(4–5절).
레위 사람들은 스스로 성결하게 하고, 모세의 율법대로 유월절 어린양을 잡았다(6절).
요시야는 자신의 재산에서 양과 염소 3만 마리, 수소 3천 마리를 내어
백성들이 제사를 드릴 수 있도록 공급했다(7절).
방백들과 성전 지도자들, 그리고 레위 지도자들도 즐거이 헌물하여 백성들을 도왔다(8–9절).
이렇게 모든 준비가 마쳐지자,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이
각자의 반열에 따라 성소에서 섬기기 시작했다(10절).
그들은 유월절 양을 잡고, 제사장들이 피를 뿌리고, 레위인들이 짐승의 가죽을 벗겼다(11절).
모세의 율법에 따라 번제와 제물들이 백성들에게 나누어졌으며,
성물은 솥과 가마, 냄비에 삶아 모든 백성에게 신속히 분배되었다(12–13절).
제사장들이 번제와 기름을 저녁까지 드리느라 시간이 부족했기에,
레위인들이 그들을 대신하여 자신과 제사장들을 위해 준비했다(14절).
노래하는 자들과 문지기들도 각자의 위치를 떠나지 않고,
형제 레위인들의 도움으로 직무를 완수했다(15절).
이날 모든 준비가 완벽히 이루어져,
요시야의 명령에 따라 유월절과 번제가 진행되었다(16절).
온 이스라엘 백성이 모여 유월절과 7일간의 무교절을 지켰다(17절).
이 유월절은 선지자 사무엘 이후로 한 번도 이렇게 온전하게 지켜진 적이 없었으며,
그 어떤 왕도 요시야만큼 경건하게 이 절기를 행하지 못했다(18절).
이 모든 일은 요시야 왕위 18년째, 그의 나이 26세 때 이루어졌다(19절).
2. 본문 묵상
(하나님 말씀 중심으로 회복된 예배의 완전한 부흥)
요시야의 유월절은 단순한 절기 재현이 아니라,
말씀에 대한 철저한 순종으로 드린 회개의 예배였다.
그는 율법책을 발견한 이후,
말씀대로 행하기를 결심하고 개혁을 완성했다.
그 개혁의 최종 결실이 바로 유월절의 회복이었다.
즉,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를 다시 새롭게 하는 예배였다.
유월절은 출애굽 사건의 기념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죄와 사망의 종살이에서 해방하신 구원의 날이었다.
요시야는 이 절기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임을 다시 확인시켰다.
그는 또한 ‘왕의 권위’로 예배를 명령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신이 먼저 예배의 헌신자가 되었다.
자신의 재산을 내어 제물을 준비하고, 백성을 위해 섬겼다.
그의 개혁은 지도자의 권력 행사가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겸손한 섬김의 리더십이었다.
또한 모든 절차가 ‘모세의 책에 기록된 대로’ 진행되었다는 반복된 언급(6, 12절)은,
예배의 중심이 인간의 창의나 전통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임을 강조한다.
요시야의 개혁은 말씀의 권위를 회복하고,
온 백성이 그 말씀대로 예배하도록 이끈 참된 부흥이었다.
3. 본문이 주는 교훈
1️⃣ 참된 예배는 말씀 중심의 순종에서 시작된다
요시야는 유월절을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켰다.
예배는 감정이 아니라 말씀에 근거한 순종의 행위이다.
2️⃣ 참된 개혁은 예배의 회복으로 완성된다
성전 수리, 율법 발견, 언약 갱신—이 모든 과정의 결론은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였다.
부흥의 목표는 결국 하나님께 돌아가는 것이다.
3️⃣ 참된 리더는 먼저 드리고, 백성을 섬긴다
요시야는 자신의 소유로 제물을 준비했다.
그는 명령하는 왕이 아니라, 하나님께 헌신하는 제사자적 왕이었다.
4️⃣ 공동체의 부흥은 함께 예배할 때 일어난다
유월절에는 온 유다와 이스라엘, 레위인, 제사장, 백성이 모두 참여했다.
하나님은 혼자의 신앙이 아니라, 함께 드리는 예배 속에서 영광을 받으신다.
5️⃣ 회복의 절정은 ‘기쁨의 예배’이다
요시야의 유월절은 엄숙하면서도 기쁨이 넘쳤다.
진정한 회개는 죄책감에서 멈추지 않고,
하나님과의 화목 안에서 기쁨으로 이어진다.
4. 우리 시대의 적용
오늘 우리의 교회와 개인 신앙을 정직하게 점검해 보자.
말씀은 있으나, 예배의 감격은 사라졌고,
절기는 남았으나, 중심은 흐려졌다.
요시야는 단지 형식적인 제사를 드린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예배를 재건하였다.
오늘 우리도 다시 말씀으로 돌아가야 한다.
예배의 중심은 찬양의 형식이나 예배당의 규모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과 순종이다.
또한, 그는 예배의 기쁨을 백성과 나누었다.
그의 헌신은 하나님께만 드린 것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살리는 나눔이었다.
오늘의 예배자들도 개인적인 신앙을 넘어,
공동체의 예배와 섬김 속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나누어야 한다.
무엇보다, 요시야의 유월절은 그리스도의 구속을 예표한다.
유월절 어린양은 장차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우리 시대의 참된 유월절은 십자가의 복음 안에서 완성되었다.
그러므로 매 예배는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는 감사의 축제가 되어야 한다.
✅ 한문장:
“요시야는 말씀에 따라 예배를 회복하고,
백성과 함께 유월절을 지킴으로 참된 부흥의 기쁨을 누렸다.”
(송병민목사)

'아침묵상 매일성경(성서유니온) > 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매일성경] 하나님의 음성 듣는 법, 판단을 보류하고 하나님께 물어보라 (역대하 35:20-27) (0) | 2025.10.30 |
|---|---|
| [매일성경] 요시야 개혁 (역대하 34:14-33) (0) | 2025.10.28 |
| [매일성경] 영적 부흥을 사모하던 요시야 왕 (역대하 34:1-13) (0) | 2025.10.27 |
| [매일성경] 므낫세의 기도도 들으시는 하나님 (역대하 33:1-25) (0) | 2025.10.26 |
| [매일성경] 히스기야의 교만 - 인간의 본성(역대하 32:24-33) (0) | 202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