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3   둘째 달에 백성이 무교절을 지키려 하여 예루살렘에 많이 모이니 매우 큰 모임이라
    14   무리가 일어나 예루살렘에 있는 제단과 향단들을 모두 제거하여 기드론 시내에 던지고
    15   둘째 달 열넷째 날에 유월절 양을 잡으니 제사장과 레위 사람이 부끄러워하여 성결하게 하고 번제물을 가지고 여호와의 전에 이르러


    16   규례대로 각각 자기들의 처소에 서고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을 따라 제사장들이 레위 사람의 손에서 피를 받아 뿌리니라
    17   회중 가운데 많은 사람이 자신들을 성결하게 하지 못하였으므로 레위 사람들이 모든 부정한 사람을 위하여 유월절 양을 잡아 그들로 여호와 앞에서 성결하게 하였으나
    18   에브라임과 므낫세와 잇사갈과 스불론의 많은 무리는 자기들을 깨끗하게 하지 아니하고 유월절 양을 먹어 기록한 규례를 어긴지라 히스기야가 그들을 위하여 기도하여 이르되 선하신 여호와여 사하옵소서


    19   결심하고 하나님 곧 그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구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비록 성소의 결례대로 스스로 깨끗하게 못하였을지라도 사하옵소서 하였더니
    20   여호와께서 히스기야의 기도를 들으시고 백성을 고치셨더라
    21   예루살렘에 모인 이스라엘 자손이 크게 즐거워하며 칠 일 동안 무교절을 지켰고 레위 사람들과 제사장들은 날마다 여호와를 칭송하며 큰 소리 나는 악기를 울려 여호와를 찬양하였으며


    22   히스기야는 여호와를 섬기는 일에 능숙한 모든 레위 사람들을 위로하였더라 이와 같이 절기 칠 일 동안에 무리가 먹으며 화목제를 드리고 그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께 감사하였더라
    23   온 회중이 다시 칠 일을 지키기로 결의하고 이에 또 칠 일을 즐겁게 지켰더라
    24   유다 왕 히스기야가 수송아지 천 마리와 양 칠천 마리를 회중에게 주었고 방백들은 수송아지 천 마리와 양 만 마리를 회중에게 주었으며 자신들을 성결하게 한 제사장들도 많았더라


    25   유다 온 회중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이스라엘에서 온 모든 회중과 이스라엘 땅에서 나온 나그네들과 유다에 사는 나그네들이 다 즐거워하였으므로
    26   예루살렘에 큰 기쁨이 있었으니 이스라엘 왕 다윗의 아들 솔로몬 때로부터 이러한 기쁨이 예루살렘에 없었더라
    27   그 때에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이 일어나서 백성을 위하여 축복하였으니 그 소리가 하늘에 들리고 그 기도가 여호와의 거룩한 처소 하늘에 이르렀더라


    1. 본문 요약정리

    (히스기야 시대의 유월절 회복과 큰 기쁨)

    둘째 달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온 백성이 예루살렘에 모였는데, 그 모임은 매우 컸다(13절).
    그들은 먼저 예루살렘에 남아 있던 우상 제단과 향단을 모두 제거하여 기드론 시내로 던졌다(14절).
    그들은 예배의 회복,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서 하나님이 싫어하시는 우상을 제거 한다.

    둘째 달 열넷째 날, 백성들은 유월절 양을 잡고 제사를 드렸다(15절).
    제사장과 레위 사람들은 부끄러워하며 스스로 성결하게 하고, 율법의 규례에 따라 제사를 진행하였다(16절).
    그러나 회중 중 많은 이들이 자신을 성결하게 하지 못하였기에, 레위인들이 대신 그들을 위하여 유월절 양을 잡아 드렸다(17절).

    에브라임, 므낫세, 잇사갈, 스불론의 많은 무리들이 규례를 어기고 부정한 상태에서 유월절에 참여하였으나,
    히스기야는 그들을 정죄하지 않고 그들을 위해 중보기도하였다.
    “선하신 여호와여, 비록 성결하지 못하였을지라도 마음으로 하나님을 구하는 자를 사하옵소서.”(18–19절)
    이에 하나님은 히스기야의 기도를 들으시고 백성을 고치셨다(20절).

    백성은 칠 일 동안 무교절을 지키며 크게 즐거워하였고,
    레위 사람들과 제사장들은 날마다 악기를 울려 여호와를 찬양하였다(21절).
    히스기야는 하나님을 섬기는 레위 사람들을 위로하며,
    온 회중은 함께 먹고 마시며 화목제를 드리고 감사하였다(22절).

    그 기쁨이 커서, 온 회중이 다시 칠 일을 더 지키기로 결의하였다(23절).
    히스기야는 백성에게 수송아지 천 마리와 양 칠천 마리를,
    방백들은 수송아지 천 마리와 양 만 마리를 드려 절기를 풍성하게 하였다(24절).
    유다와 이스라엘의 모든 백성, 제사장과 레위인, 나그네들까지 함께 즐거워하였고,
    그 기쁨은 솔로몬 시대 이후 다시 없을 정도로 컸다(25–26절).

    마지막으로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이 백성을 위하여 축복하였는데,
    그 소리가 하늘에 들리고 그 기도가 여호와의 거룩한 처소에 이르렀다(27절).


    2. 본문 묵상

    (형식보다 마음을 보시는 하나님, 회복의 기쁨을 주시는 하나님)

    히스기야 시대의 유월절은 율법적으로 보면 완전하지 않았다.
    시기적으로 둘째 달에 지켜졌고, 많은 사람들이 정결 예식을 지키지 못한 채 참여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 예배를 기쁘게 받으셨다.
    그 이유는 그들의 마음이 하나님께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히스기야는 백성을 대신하여 하나님께 기도하였다.
    “비록 그들이 성결하지 못했을지라도, 마음으로 주를 구하는 자를 용서하소서.”
    이 기도에는 형식이 아닌 깊은 복음의 정신이 담겨 있다.
    하나님은 외형의 정결보다 마음의 결심과 믿음의 방향을 보신다.

    그 결과 하나님은 “그들의 기도를 들으시고 백성을 고치셨다.”(20절)
    ‘고치셨다’는 말은 단순한 육체의 치료가 아니라,
    영적 회복과 관계의 회복을 뜻한다.
    그들의 불순종을 정죄하지 않으시고, 회개하는 마음을 받아주신 것이다.

    백성은 7일 동안 기쁨으로 예배하며 찬양하였다.
    그들의 찬송은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회복의 증거요, 구원의 환호였다.
    히스기야는 그들을 격려하며 레위 사람들을 위로하였다.
    이것이 참된 지도자의 모습이다 — 하나님을 섬기는 자들을 격려하고, 예배를 중심으로 백성을 세우는 것이다.

    그들은 감격하여 또 7일을 더 지켰다.
    은혜의 경험은 더 깊은 예배를 갈망하게 한다.
    참된 예배는 인간의 의무가 아니라, 은혜의 overflow(넘침)이다.
    하나님이 회복시킨 백성은 스스로 기뻐하며 찬양한다.

    마지막 절은 이 모든 사건의 결론이다.
    “그들의 기도가 여호와의 거룩한 처소 하늘에 이르렀더라.”(27절)
    하늘이 닫혀 있던 시대에, 이제 기도가 다시 하늘에 닿았다.
    이것이 바로 부흥의 표징이다.


    3. 본문이 주는 교훈

    1️⃣ 참된 예배는 형식보다 마음의 진실을 본다

    하나님은 정결의 절차보다 회개하고 하나님을 구하는 마음을 기뻐하신다.
    “비록 깨끗하지 못하였을지라도 여호와를 찾는 자를 사하옵소서.”
    하나님은 우리의 불완전함을 책망하지 않으시고,
    그 불완전함 속에서도 자신을 향한 믿음을 보신다.

    2️⃣ 중보기도는 하나님의 회복 역사를 이끈다

    히스기야 한 사람의 기도로 백성이 고침받았다.
    참된 지도자는 비판하는 자가 아니라, 백성을 위해 기도하는 자이다.
    기도는 공동체를 살리고, 하나님의 은혜를 불러온다.

    3️⃣ 기쁨은 회개의 열매이다

    회복된 백성은 억지로가 아니라, 자원함으로 예배한다.
    그들은 7일을 더 지켰다.
    하나님을 만난 자는 기뻐함으로 예배를 더 원하고, 찬양을 멈출 수 없다.

    4️⃣ 부흥의 본질은 ‘하늘에 닿는 기도’이다

    “그들의 기도가 여호와의 거룩한 처소 하늘에 이르렀더라.”
    이 말은 단지 예배의 성공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단절이 회복되었음을 선포하는 말씀이다.
    부흥은 사람들이 모인 결과가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가 다시 우리 가운데 임한 사건이다.


    4. 우리 시대의 적용

    오늘의 교회 역시 히스기야 시대와 같이
    외형은 남아 있으나 마음이 식은 예배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히스기야의 유월절은 우리에게 묻는다.
    “너의 예배는 형식인가, 회복인가?”

    하나님은 여전히 불완전한 사람들의 예배를 받으신다.
    정결하지 못한 손이라도, 진심으로 하나님을 찾는 마음이 있다면
    그분은 그 예배를 은혜로 채워 주신다.

    또한 히스기야의 기도처럼,
    하나님께서 교회를 회복시키시는 일에는
    중보기도자가 필요하다.
    그 한 사람의 기도가 하늘에 닿을 때,
    하나님은 백성을 고치시고 부흥을 일으키신다.

    오늘 우리의 예배가 다시 하늘에 닿게 하라.
    그때 교회 안에는 다시 기쁨과 찬양, 감격과 감사의 물결이 일어날 것이다.


    한 문장:

    “히스기야의 유월절은 형식이 아닌 마음의 예배로,
    중보의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회복이 임한 부흥의 절기였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