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본문읽기
1 히스기야가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이십오 세라 예루살렘에서 이십구 년 동안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아비야요 스가랴의 딸이더라
2 히스기야가 그의 조상 다윗의 모든 행실과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여
3 첫째 해 첫째 달에 여호와의 전 문들을 열고 수리하고
4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동쪽 광장에 모으고
5 그들에게 이르되 레위 사람들아 내 말을 들으라 이제 너희는 성결하게 하고 또 너희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의 전을 성결하게 하여 그 더러운 것을 성소에서 없애라
6 우리 조상들이 범죄하여 우리 하나님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하나님을 버리고 얼굴을 돌려 여호와의 성소를 등지고
7 또 낭실 문을 닫으며 등불을 끄고 성소에서 분향하지 아니하며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번제를 드리지 아니하므로
8 여호와께서 유다와 예루살렘에 진노하시고 내버리사 두려움과 놀람과 비웃음거리가 되게 하신 것을 너희가 똑똑히 보는 바라
9 이로 말미암아 우리의 조상들이 칼에 엎드러지며 우리의 자녀와 아내들이 사로잡혔느니라
10 이제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와 더불어 언약을 세워 그 맹렬한 노를 우리에게서 떠나게 할 마음이 내게 있노니
11 내 아들들아 이제는 게으르지 말라 여호와께서 이미 너희를 택하사 그 앞에 서서 수종들어 그를 섬기며 분향하게 하셨느니라
12 이에 레위 사람들이 일어나니 곧 그핫의 자손 중 아마새의 아들 마핫과 아사랴의 아들 요엘과 므라리의 자손 중 압디의 아들 기스와 여할렐렐의 아들 아사랴와 게르손 사람 중 심마의 아들 요아와 요아의 아들 에덴과
13 엘리사반의 자손 중 시므리와 여우엘과 아삽의 자손 중 스가랴와 맛다냐와
14 헤만의 자손 중 여후엘과 시므이와 여두둔의 자손 중 스마야와 웃시엘이라
15 그들이 그들의 형제들을 모아 성결하게 하고 들어가서 왕이 여호와의 말씀대로 명령한 것을 따라 여호와의 전을 깨끗하게 할새
16 제사장들도 여호와의 전 안에 들어가서 깨끗하게 하여 여호와의 전에 있는 모든 더러운 것을 끌어내어 여호와의 전 뜰에 이르매 레위 사람들이 받아 바깥 기드론 시내로 가져갔더라
17 첫째 달 초하루에 성결하게 하기를 시작하여 그 달 초팔일에 여호와의 낭실에 이르고 또 팔 일 동안 여호와의 전을 성결하게 하여 첫째 달 십육 일에 이르러 마치고
18 안으로 들어가서 히스기야 왕을 보고 이르되 우리가 여호와의 온 전과 번제단과 그 모든 그릇들과 떡을 진설하는 상과 그 모든 그릇들을 깨끗하게 하였고
19 또 아하스 왕이 왕위에 있어 범죄할 때에 버린 모든 그릇들도 우리가 정돈하고 성결하게 하여 여호와의 제단 앞에 두었나이다 하니라
1. 본문 요약정리
(히스기야의 즉위와 성전 정화의 시작)
히스기야는 25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예루살렘에서 29년 동안 통치하였다.
그의 아버지 아하스가 성전 문을 닫고 하나님을 버린 불신앙의 길을 걸었던 것과 달리,
히스기야는 그의 조상 다윗의 행위를 본받아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였다(1–2절).
그는 즉위 원년 첫째 달에 성전의 문을 열고 수리하는 일을 시작하였다(3절).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모아 성결을 명령하며,
조상들의 범죄로 인해 하나님의 진노가 임했고,
그 결과 유다의 멸망과 포로의 수치가 있었다고 고백하였다(4–9절).
히스기야는 여호와와의 언약을 새롭게 하고자 결단하며,
“이제 게으르지 말라. 여호와께서 이미 너희를 택하셨다”(11절)라고 격려하였다.
이에 레위 사람들은 즉시 일어나 성전을 정결하게 하였고,
더러운 모든 것을 기드론 시내로 옮겨 버렸다(12–16절).
정화 작업은 첫째 달 초하루에 시작되어,
16일째 되는 날에 마침내 성전 전체가 깨끗하게 되었다(17절).
그들은 성전의 그릇들과 제단, 진설병 상을 모두 정결하게 하고,
아하스 시대에 버려졌던 기구들까지 새롭게 정돈하여 제자리에 두었다(18–19절).
히스기야의 개혁은 닫힌 문을 여는 일, 더러움을 제거하는 일,
하나님과의 언약을 새롭게 하는 일로 요약된다.
2. 본문 묵상
(닫힌 문을 다시 여는 신앙의 결단)
히스기야의 첫 번째 행위는 정치 개혁이 아니라 예배의 회복이었다.
그는 나라를 세우는 출발점을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에서 찾았다.
이는 인간의 힘이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가 통치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신앙고백이다.
그는 먼저 성전의 문을 열었다.
닫힌 문은 단지 물리적 문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단절을 상징하는 문이었다.
그가 문을 연 것은 “하나님, 이제 우리가 다시 주께로 돌아갑니다”라는 영적 선언이었다.
히스기야의 개혁은 죄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했다.
그는 조상들의 죄와 불신앙을 숨기지 않았다.
“우리 조상들이 범죄하여 하나님을 버렸도다.”(6절)
이 고백은 단순한 비판이 아니라 회개의 시작이었다.
히스기야는 레위인들에게 성결을 명령하며 “게으르지 말라”고 말한다(11절).
게으름은 죄의 동반자이며,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서 가장 위험한 영적 무기력이다.
그는 그 무기력함을 깨우며 하나님의 부르심을 상기시켰다.
히스기야의 성전 정화는 ‘보이는 성전 청소’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성전, 마음의 정화’였다.
성전의 먼지를 털고 그릇을 닦는 일은,
사실상 백성의 마음을 새롭게 하는 영적 개혁이었다.
3. 본문이 주는 교훈
1️⃣ 회복은 문을 여는 결단에서 시작된다
아하스는 성전의 문을 닫았지만, 히스기야는 그 문을 열었다.
믿음의 회복은 새로운 일을 하는 데 있지 않고,
이미 닫혀 있던 ‘하나님과의 통로’를 다시 여는 데 있다.
우리 신앙의 첫 걸음은 늘 “닫힌 문을 여는 일”이다.
2️⃣ 참된 개혁은 예배의 회복이다
히스기야는 나라의 군사력이나 재정을 먼저 다루지 않았다.
그는 제사와 성결, 예배의 회복을 국가의 근본으로 삼았다.
오늘날 교회와 사회의 회복 또한 예배의 자리에서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곳이 회복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3️⃣ 회개는 변명보다 책임의 고백에서 비롯된다
히스기야는 조상들의 죄를 변명하지 않았다.
그는 “우리의 조상들이 악을 행하여 하나님을 버렸다”(6절)고 고백했다.
진정한 회개는 과거를 미화하지 않고,
그 죄의 결과를 하나님의 공의 안에서 인정하는 데 있다.
4️⃣ 하나님의 택하심은 회복의 근거이다
“여호와께서 이미 너희를 택하셨느니라”(11절)는 말씀은
사람의 결단보다 하나님의 선택이 먼저임을 보여준다.
우리가 성결하게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먼저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셨기 때문이다.
4. 우리 시대의 적용
오늘날 교회와 신앙 공동체는 아하스 시대와 같은 영적 침체를 경험하고 있다.
형식적인 예배는 더욱 화려했을지 몰라도 진정한 마음의 성전문이 닫히고, 참된 회개와 중심의 기도의 등불이 꺼지고,
거룩이 사라진 자리에는 세속적 성공과 맘몬을 섬기는 가짜 신앙이 들어섰다.
히스기야의 개혁은 단지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오늘의 신앙인을 향한 하나님의 도전이며, 초청이다.
우리의 ‘성전 문’—곧 마음의 문, 예배의 문, 기도의 문—이 다시 열려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여전히 “게으르지 말라”고 말씀하신다.
게으름이 무엇일까?
모든 문제의 원인을 하나님 탓으로 돌리고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참 신앙인양 버티는 것이 아닐까.
믿음의 게으름은 이단 사상을 양산하며
회개 없는 신앙은 종교적 형식으로만 남는다.
히스기야의 결단은 곧 우리에게 향한 부르심이다.
“닫힌 문을 다시 열라, 더러운 것을 내어 버리라,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 한 문장:
“히스기야의 개혁은 닫힌 성전의 문을 다시 여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그것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예배를 새롭게 하는 영적 회복의 선언이었다.”
(송병민목사)
'아침묵상 매일성경(성서유니온) > 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성경 아침묵상] 히스기야의 속죄제사 (역대하 29:20-36) (0) | 2025.10.20 |
---|---|
[매일성경 아침묵상] 하나님 대신 세상을 의지한 왕 — 아하스의 불신앙과 몰락 (역대하 28:16-27) (0) | 2025.10.18 |
[매일성경 아침묵상] 하나님을 찾는 자, 하나님을 버린 자 — 요담과 아하스의 두 길 (역대하 27:1-28:15) (0) | 2025.10.17 |
[매일성경 아침묵상] 웃시야의 성공과 실패(나병)가 주는 교훈 (역대하 26:1-23) (0) | 2025.10.16 |
[매일성경 아침묵상] 하나님이 함께 하시지 않으심, 버림받은 왕 (역대하 25:14-28) (0) | 202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