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히스기야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사람을 보내고 또 에브라임과 므낫세에 편지를 보내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에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라
    2   왕이 방백들과 예루살렘 온 회중과 더불어 의논하고 둘째 달에 유월절을 지키려 하였으니
    3   이는 성결하게 한 제사장들이 부족하고 백성도 예루살렘에 모이지 못하였으므로 그 정한 때에 지킬수 없었음이라


    4   왕과 온 회중이 이 일을 좋게 여기고
    5   드디어 왕이 명령을 내려 브엘세바에서부터 단까지 온 이스라엘에 공포하여 일제히 예루살렘으로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 이는 기록한 규례대로 오랫동안 지키지 못하였음이더라
    6   보발꾼들이 왕과 방백들의 편지를 받아 가지고 왕의 명령을 따라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두루 다니며 전하니 일렀으되 이스라엘 자손들아 너희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그리하면 그가 너희 남은 자 곧 앗수르 왕의 손에서 벗어난 자에게로 돌아오시리라


    7   너희 조상들과 너희 형제 같이 하지 말라 그들은 그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께 범죄하였으므로 여호와께서 멸망하도록 버려 두신 것을 너희가 똑똑히 보는 바니라
    8   그런즉 너희 조상들 같이 목을 곧게 하지 말고 여호와께 돌아와 영원히 거룩하게 하신 전에 들어가서 너희 하나님 여호와를 섬겨 그의 진노가 너희에게서 떠나게 하라
    9   너희가 만일 여호와께 돌아오면 너희 형제들과 너희 자녀가 사로잡은 자들에게서 자비를 입어 다시 이 땅으로 돌아오리라 너희 하나님 여호와는 은혜로우시고 자비하신지라 너희가 그에게로 돌아오면 그의 얼굴을 너희에게서 돌이키지 아니하시리라 하였더라


    10   보발꾼이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방 각 성읍으로 두루 다녀서 스불론까지 이르렀으나 사람들이 그들을 조롱하며 비웃었더라
    11   그러나 아셀과 므낫세와 스불론 중에서 몇 사람이 스스로 겸손한 마음으로 예루살렘에 이르렀고
    12   하나님의 손이 또한 유다 사람들을 감동시키사 그들에게 왕과 방백들이 여호와의 말씀대로 전한 명령을 한 마음으로 준행하게 하셨더라


    1. 본문 요약정리

    (히스기야의 유월절 회복과 회개의 초청)

    히스기야 왕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사자들을 보내어 예루살렘에 모여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께 유월절을 지키라는 명령을 내렸다(1절).
    그는 방백들과 예루살렘 회중과 의논하여,
    제사장들이 충분히 성결하지 못하고 백성들이 미처 모이지 못하였으므로
    정한 때가 아닌 둘째 달에 유월절을 지키기로 결정하였다(2–3절).

    이 일은 왕과 백성 모두에게 옳게 여겨졌으며(4절),
    그들은 브엘세바에서 단까지, 곧 나라 전체에 공포하여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유월절을 다시 지키도록 명하였다(5절).

    히스기야는 사자들을 보내어 회개의 편지를 낭독하게 했다.
    그 편지는 단순한 행사 초대장이 아니라,
    “너희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오라”(6절)는
    영적 부르심이었다.
    그는 북이스라엘의 남은 자들에게도 돌아올 기회를 주시며,
    “너희 조상들처럼 목을 곧게 하지 말고 여호와께 돌아오라”(7–8절)고 호소하였다.

    히스기야의 초청은 단호하면서도 은혜로웠다.
    “너희가 여호와께 돌아오면 너희 자녀와 형제들이 자비를 입어 다시 돌아올 것이다.
    여호와는 은혜롭고 자비하시니, 그에게로 돌아오면 그 얼굴을 돌이키지 아니하시리라.”(9절)

    그러나 이 부르심에 대한 반응은 엇갈렸다.
    에브라임, 므낫세, 스불론의 많은 사람들은 사자들을 조롱하며 비웃었으나,
    그중에서도 아셀, 므낫세, 스불론의 몇 사람은 겸손한 마음으로 응답하여
    예루살렘으로 올라왔다(10–11절).

    또한 하나님의 손이 유다 사람들을 감동시키사
    그들이 히스기야의 명령을 한마음으로 준행하게 하셨다(12절).
    이는 유월절 회복이 인간의 결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감동과 역사로 이루어진 일이었음을 보여준다.


    2. 본문 묵상

    (돌아오라는 부르심과 응답하는 마음)

    히스기야의 유월절 회복은 단순한 종교 개혁이 아니라,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초청에 대한 응답이었다.
    그의 편지 속에는 율법의 명령보다 복음의 은혜가 더 강하게 울려 퍼진다.

    “너희가 여호와께로 돌아오면, 그가 너희에게 돌아오시리라.”(6절)
    이 말씀은 구약의 복음이라 할 수 있다.
    회복의 시작은 인간의 결심이 아니라,
    먼저 우리를 기다리시는 하나님의 자비로운 손길이다.

    히스기야는 ‘둘째 달 유월절’이라는 예외적 방식을 선택하였다.
    이는 율법적 완벽보다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더 중요하게 여긴 결정이었다.
    그는 형식보다 본질을 보았다.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날짜의 정확성’이 아니라
    ‘하나님께 돌아오는 마음’이었다.

    하지만 이 초청에 대한 반응은 나뉘었다.
    어떤 이들은 그를 조롱하며 비웃었고(10절),
    다른 이들은 겸손히 예루살렘으로 향하였다(11절).
    이 장면은 오늘날 복음의 부르심 앞에서의 인간의 두 가지 반응을 보여준다.
    하나는 조롱이고, 다른 하나는 회개이다.

    하나님의 감동은 인간의 조롱을 넘어서 역사한다.
    “하나님의 손이 유다 사람들을 감동시키사”(12절) —
    참된 부흥은 인간의 설득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마음을 움직이시고,
    돌아올 마음을 심어주실 때 비로소 가능하다.


    3. 본문이 주는 교훈

    1️⃣ 회복은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부르심으로부터 시작된다

    히스기야는 종교의식을 회복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돌아오라는 영적 초청을 전하였다.
    신앙의 본질은 ‘새로운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잃어버린 하나님께 다시 돌아가는 것’이다.

    2️⃣ 하나님은 율법보다 회복을 기뻐하신다

    히스기야가 둘째 달에 유월절을 지킨 것은
    율법을 무시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마음 — 백성을 구원하시려는 자비 — 를 따르는 결정이었다.
    하나님은 형식보다 진심, 제도보다 생명을 기뻐하신다.

    3️⃣ 하나님의 부르심 앞에서 겸손히 응답하는 자가 복을 얻는다

    많은 이들이 조롱했지만,
    몇몇은 겸손히 예루살렘으로 나아왔다.
    하나님은 항상 다수를 기뻐하시는 것이 아니라,
    겸손히 순종하는 소수를 통해 회복의 역사를 이루신다.

    4️⃣ 참된 부흥은 하나님의 손이 감동시킬 때 일어난다

    “하나님의 손이 유다 사람들을 감동시키사”(12절)
    이 말씀은 모든 회복의 근원이 하나님께 있음을 보여준다.
    참된 부흥은 인간의 계획이나 제도적 개혁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이 백성의 마음을 감동시킬 때 일어난다.


    4. 우리 시대의 적용

    오늘의 교회와 신앙 공동체도 히스기야의 시대와 다르지 않다.
    예배는 형식적으로 드려지고,
    회개보다는 자기 만족이, 말씀보다는 관습이 자리하고 있다.

    히스기야의 초청은 오늘 우리에게도 울려 퍼진다.
    “너희는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돌아온다는 것은 단지 교회로 복귀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과 임재로 다시 나아가는 것이다.

    우리 시대의 부흥은 뛰어난 지도자나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오지 않는다.
    그것은 하나님의 손이 우리 마음을 감동시키실 때 일어난다.
    겸손히 응답하는 한 사람, 한 공동체로부터 부흥은 다시 시작된다.


    한 문장:

    “히스기야의 유월절 개혁은 하나님께 돌아오라는 회개의 부르심이었으며,
    겸손히 응답한 자들을 통해 하나님의 손이 감동하신 회복의 역사였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