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본문읽기
20 히스기야 왕이 일찍이 일어나 성읍의 귀인들을 모아 여호와의 전에 올라가서
21 수송아지 일곱 마리와 숫양 일곱 마리와 어린 양 일곱 마리와 숫염소 일곱 마리를 끌어다가 나라와 성소와 유다를 위하여 속죄제물로 삼고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을 명령하여 여호와의 제단에 드리게 하니
22 이에 수소를 잡으매 제사장들이 그 피를 받아 제단에 뿌리고 또 숫양들을 잡으매 그 피를 제단에 뿌리고 또 어린 양들을 잡으매 그 피를 제단에 뿌리고
23 이에 속죄제물로 드릴 숫염소들을 왕과 회중 앞으로 끌어오매 그들이 그 위에 안수하고
24 제사장들이 잡아 그 피를 속죄제로 삼아 제단에 드려 온 이스라엘을 위하여 속죄하니 이는 왕이 명령하여 온 이스라엘을 위하여 번제와 속죄제를 드리게 하였음이더라
25 왕이 레위 사람들을 여호와의 전에 두어서 다윗과 왕의 선견자 갓과 선지자 나단이 명령한 대로 제금과 비파와 수금을 잡게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그의 선지자들로 이렇게 명령하셨음이라
26 레위 사람은 다윗의 악기를 잡고 제사장은 나팔을 잡고 서매
27 히스기야가 명령하여 번제를 제단에 드릴새 번제 드리기를 시작하는 동시에 여호와의 시로 노래하고 나팔을 불며 이스라엘 왕 다윗의 악기를 울리고
28 온 회중이 경배하며 노래하는 자들은 노래하고 나팔 부는 자들은 나팔을 불어 번제를 마치기까지 이르니라
29 제사 드리기를 마치매 왕과 그와 함께 있는 자들이 다 엎드려 경배하니라
30 히스기야 왕이 귀인들과 더불어 레위 사람을 명령하여 다윗과 선견자 아삽의 시로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그들이 즐거움으로 찬송하고 몸을 굽혀 예배하니라
31 이에 히스기야가 말하여 이르되 너희가 이제 스스로 몸을 깨끗하게 하여 여호와께 드렸으니 마땅히 나아와 제물과 감사제물을 여호와의 전으로 가져오라 하니 회중이 제물과 감사제물을 가져오되 무릇 마음에 원하는 자는 또한 번제물도 가져오니
32 회중이 가져온 번제물의 수효는 수소가 칠십 마리요 숫양이 백 마리요 어린 양이 이백 마리이니 이는 다 여호와께 번제물로 드리는 것이며
33 또 구별하여 드린 소가 육백 마리요 양이 삼천 마리라
34 그런데 제사장이 부족하여 그 모든 번제 짐승들의 가죽을 능히 벗기지 못하는 고로 그의 형제 레위 사람들이 그 일을 마치기까지 돕고 다른 제사장들이 성결하게 하기까지 기다렸으니 이는 레위 사람들의 성결하게 함이 제사장들보다 성심이 있었음이라
35 번제와 화목제의 기름과 각 번제에 속한 전제들이 많더라 이와 같이 여호와의 전에서 섬기는 일이 순서대로 갖추어지니라
36 이 일이 갑자기 되었으나 하나님께서 백성을 위하여 예비하셨으므로 히스기야가 백성과 더불어 기뻐하였더라
1. 본문 요약정리
(히스기야의 제사 회복과 예배의 부흥)
히스기야 왕은 성전이 정결하게 된 후, 즉시 예배 회복의 일을 추진하였다.
그는 성전에서 속죄제와 번제를 드려 나라 전체의 죄를 속죄하고,
하나님께 예배의 불을 다시 지폈다(20–24절).
왕은 성읍의 귀인들을 모아 함께 성전으로 올라가고,
수송아지·숫양·어린양·숫염소 각 일곱 마리씩을 준비하여
나라와 성소와 유다를 위하여 속죄제물로 드렸다(21절).
제사장들은 그 피를 제단에 뿌렸고,
왕과 회중은 그 위에 안수하여 온 백성을 대신하는 속죄가 이루어졌다.
이 제사는 단지 유다를 위한 것이 아니라,
“온 이스라엘을 위하여 속죄하니”(24절)라는 말씀처럼,
북왕국까지 포함한 하나님의 언약 백성 전체를 위한 대속적 제사였다.
이어 히스기야는 예배의 음악과 찬양을 회복하였다.
그는 다윗과 선견자 갓, 나단이 명령한 대로
레위 사람들에게 제금과 비파와 수금을 잡게 하고(25절),
제사장들에게 나팔을 불게 하여
번제와 찬양이 동시에 드려지도록 명하였다(27절).
온 회중이 함께 경배하고, 노래하며, 나팔을 불며
예배는 공동체 전체의 찬양으로 충만하게 되었다(28–30절).
히스기야는 백성들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이제 성결하게 되었으니 제물과 감사제를 여호와께 드리라”(31절) 하였고,
백성들은 자원하여 풍성한 제물을 드렸다.
그 수효가 수소 칠십, 숫양 백, 어린양 이백 마리였고,
감사와 화목제물도 넘치게 드려졌다(32–33절).
제사장이 부족하여 레위인들이 그 일을 도왔는데,
그 이유는 레위 사람들이 제사장보다 더 성심으로 성결하게 하였기 때문이었다(34절).
마침내 성전에서 섬기는 일이 질서와 기쁨 가운데 회복되었고,
이 일은 갑작스럽게 이루어졌으나
“하나님께서 백성을 위하여 예비하셨으므로”(36절)
히스기야와 백성이 함께 크게 기뻐하였다.
2. 본문 묵상
(속죄로부터 회복되는 예배, 회복된 마음에서 피어나는 찬양)
히스기야의 개혁은 정결한 성전에서 멈추지 않았다.
정결함은 목적이 아니라, 하나님께 예배드리기 위한 준비였다.
따라서 그는 즉시 제사와 찬양을 회복함으로써
“하나님을 다시 예배하는 공동체”로 유다를 세웠다.
그는 먼저 속죄의 제사를 드렸다.
이는 단순한 국가 의식이 아니라, 죄를 덮는 은혜의 시작이었다.
히스기야는 나라의 부패와 우상숭배가 하나님의 진노를 불렀음을 알았다.
그는 그 죄를 덮기 위해 피의 제사를 드렸다.
피는 인간의 죄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며,
동시에 하나님께서 용서하시기 위해 피를 요구하신다는 사실을 증언한다.
이 장면은 장차 오실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을 예표한다.
히스기야의 제단 위에 흘려진 피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위에서 완전히 성취될 속죄를 미리 보여준다.
“그가 단번에 자신을 제물로 드려 영원한 속죄를 이루셨다.” (히 9:12)
다음으로 히스기야는 찬양과 경배의 예배를 회복했다.
제사와 함께 음악이 울려 퍼지고, 온 회중이 함께 경배했다.
이것은 단순한 음악의 회복이 아니라,
마음의 회복, 공동체의 회복, 예배의 본질 회복이었다.
하나님께 향한 찬송은 단지 감사의 표현이 아니라,
그분의 은혜를 인정하는 신앙의 고백이었다.
레위 사람들이 제사장을 도와 일했다는 사실은 깊은 영적 의미를 지닌다.
“레위 사람들의 성결함이 제사장들보다 성심이 있었다.”(34절)
즉, 하나님은 직분의 높고 낮음을 보지 않으시고,
성심(誠心), 곧 진정한 마음의 헌신을 보신다.
이 말씀은 오늘날의 예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나님은 기술보다 마음을, 형식보다 진심을 기뻐하신다.
마지막으로, 본문은 “이 일이 갑자기 되었으나 하나님이 예비하셨다”(36절)고 기록한다.
히스기야의 개혁은 인간의 계획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미 준비하신 회복의 역사였다.
참된 부흥은 인간의 열심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마음을 움직이시고 준비하신 때에 이루어진다.
3. 본문이 주는 교훈과 현대적 적용
1️⃣ 참된 예배는 속죄로부터 시작된다
히스기야의 첫 제사는 속죄제였다.
예배의 회복은 감정이나 음악이 아니라,
먼저 죄가 용서받고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는 데서 시작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오늘의 예배를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근거이다.
2️⃣ 찬양은 회복된 마음의 열매이다
찬양은 감정의 표현이 아니라, 구속의 감사이다.
하나님의 은혜를 깨달은 사람만이 참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히스기야의 시대처럼, 우리의 찬양이 다시 살아나려면
먼저 우리의 마음이 속죄의 은혜로 새로워져야 한다.
3️⃣ 하나님은 진심으로 헌신한 자를 사용하신다
레위 사람들은 제사장보다 먼저 성결하게 하였고,
그 성심으로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였다.
오늘날 교회의 회복 또한 직분이나 재능보다,
하나님께 헌신된 진심 있는 마음에서 시작된다.
4️⃣ 부흥은 하나님의 준비하심으로 일어난다
히스기야의 개혁은 인간의 계획이 아니라 하나님의 예비였다.
“이 일이 갑자기 되었으나 하나님께서 백성을 위하여 예비하셨다.”(36절)
오늘 우리의 삶에서도 진정한 변화와 회복은
하나님께서 미리 준비하신 은혜의 시간 속에서 이루어진다.
Ⅳ. 결론
히스기야의 예배 회복은 단순한 종교 행사나 제사 복원이 아니었다.
그것은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백성의 회심이자,
죄 사함과 찬양, 경배로 이어지는 영적 부흥의 시작이었다.
그들의 제단 위에서 흘린 피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예표하며,
그들의 찬송은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한 자의 기쁨이었다.
오늘 우리에게도 하나님께서는 닫힌 마음의 문을 열고
다시 예배의 자리로 돌아오라 부르신다.
회개와 속죄의 은혜가 있을 때,
하나님은 다시금 우리 가운데 찬양의 노래를 회복시키신다.
✅ 요약 문장:
“히스기야의 예배 회복은 속죄로부터 시작되었고,
회복된 마음은 찬양으로 응답하였으며,
이는 하나님께서 예비하신 은혜의 부흥이었다.”
(송병민목사)
'아침묵상 매일성경(성서유니온) > 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성경 아침묵상] 히스기야의 개혁-마음의 성전문을 열다 (역대하 29:1-19) (0) | 2025.10.19 |
---|---|
[매일성경 아침묵상] 하나님 대신 세상을 의지한 왕 — 아하스의 불신앙과 몰락 (역대하 28:16-27) (0) | 2025.10.18 |
[매일성경 아침묵상] 하나님을 찾는 자, 하나님을 버린 자 — 요담과 아하스의 두 길 (역대하 27:1-28:15) (0) | 2025.10.17 |
[매일성경 아침묵상] 웃시야의 성공과 실패(나병)가 주는 교훈 (역대하 26:1-23) (0) | 2025.10.16 |
[매일성경 아침묵상] 하나님이 함께 하시지 않으심, 버림받은 왕 (역대하 25:14-28) (0) | 202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