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할렐루야 여호와의 이름을 찬송하라 여호와의 종들아 찬송하라
    2   여호와의 집 우리 여호와의 성전 곧 우리 하나님의 성전 뜰에 서 있는 너희여
    3   여호와를 찬송하라 여호와는 선하시며 그의 이름이 아름다우니 그의 이름을 찬양하라
    4   여호와께서 자기를 위하여 야곱 곧 이스라엘을 자기의 특별한 소유로 택하셨음이로다
    5   내가 알거니와 여호와께서는 위대하시며 우리 주는 모든 신들보다 위대하시도다


    6   여호와께서 그가 기뻐하시는 모든 일을 천지와 바다와 모든 깊은 데서 다 행하셨도다
    7   안개를 땅 끝에서 일으키시며 비를 위하여 번개를 만드시며 바람을 그 곳간에서 내시는도다
    8   그가 애굽의 처음 난 자를 사람부터 짐승까지 치셨도다
    9   애굽이여 여호와께서 네게 행한 표적들과 징조들을 바로와 그의 모든 신하들에게 보내셨도다
    10   그가 많은 나라를 치시고 강한 왕들을 죽이셨나니


    11   곧 아모리인의 왕 시혼과 바산 왕 옥과 가나안의 모든 국왕이로다
    12   그들의 땅을 기업으로 주시되 자기 백성 이스라엘에게 기업으로 주셨도다
    13   여호와여 주의 이름이 영원하시니이다 여호와여 주를 기념함이 대대에 이르리이다
    14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을 판단하시며 그의 종들로 말미암아 위로를 받으시리로다
    15   열국의 우상은 은금이요 사람의 손으로 만든 것이라


    16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며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며
    17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며 그들의 입에는 아무 호흡도 없나니
    18   그것을 만든 자와 그것을 의지하는 자가 다 그것과 같으리로다
    19   이스라엘 족속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아론의 족속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20   레위 족속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여호와를 경외하는 너희들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21   예루살렘에 계시는 여호와는 시온에서 찬송을 받으실지어다 할렐루야


     

    1. 시편 135편 요약

    1. 찬양의 초청 (1-4절)
      시편은 “할렐루야”라는 찬양의 부름으로 시작합니다. 성전 뜰에 있는 여호와의 종들에게 하나님을 찬송하라고 권합니다. 여호와는 선하시며, 그 이름이 아름답고, 그분께서 이스라엘을 특별한 소유로 택하셨기 때문에 찬양을 받으실 분입니다.
    2.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행하심 (5-12절)
      시인은 여호와께서 모든 신들보다 위대하시며, 창조주로서 천지 만물을 다스리신다고 선포합니다. 또한 출애굽 사건과 가나안 정복 사건을 회상하며, 하나님이 역사 속에서 자기 백성을 위해 강한 왕들과 나라들을 심판하시고 그들의 땅을 기업으로 주셨음을 노래합니다.
    3. 여호와의 이름과 신실하심 (13-14절)
      여호와의 이름은 영원하며, 그 기념은 대대로 이어집니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심판하시고, 종들을 위로하시는 공의롭고 자비로운 분이십니다.
    4. 우상과 여호와의 대조 (15-18절)
      열국의 우상은 은금으로 만든 인간의 작품에 불과하며,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고,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며,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합니다. 우상은 무능할 뿐 아니라, 그것을 만드는 자와 그것을 의지하는 자도 그와 같이 무력해집니다.
    5. 마무리 송축 (19-21절)
      이스라엘, 아론의 족속, 레위인, 여호와를 경외하는 모든 자들에게 송축을 권면하며, 마지막으로 “예루살렘에 계시는 여호와는 시온에서 찬송을 받으실지어다”라는 선언으로 마무리합니다.

    핵심 요약: 시편 135편은 창조와 구원, 언약의 신실함, 그리고 우상 숭배의 허무함을 선포하며 “오직 여호와만이 참되신 하나님이시며, 그러므로 마땅히 찬송받으셔야 한다”고 고백하는 찬양시입니다.


    2. 본문 묵상

    (1) 참되신 하나님 vs. 우상의 무능

    우상은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고,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며,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성경은 “그것을 만든 자와 의지하는 자도 다 그것과 같으리라”(18절)고 말합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두려운 경고입니다. 우리가 섬기는 것이 곧 우리의 영혼을 형성한다는 뜻입니다.


    돈을 섬기면 우리는 탐욕스럽고 불안한 사람이 되고, 권력을 섬기면 냉혹하고 강퍅한 사람이 되며, 인정과 성공을 섬기면 끊임없이 타인의 시선에 묶인 사람이 됩니다.

     

    반대로, 살아 계신 하나님을 섬기면 우리는 인격적으로 살아 계신 그분의 형상을 닮아 갑니다.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을 예배할 때, 우리도 은혜로운 사람이 되고, 용서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볼 때, 우리도 용서하는 사람으로 변화됩니다.

    (2) 역사 속에서 드러난 하나님의 위대하심

    시인은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을 회상합니다. 이는 단순히 과거 사건을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언제나 자기 백성을 구원하시는 분임을 현재적 신앙 고백으로 확증하는 것입니다. 팀 켈러는 늘 복음을 역사적 사건으로 강조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안에서 실제로 행하신 일”이 우리의 믿음을 지탱한다고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시편 기자는 하나님이 실제 역사 속에서 행하신 구원을 붙잡음으로써 현재의 찬양을 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3) 참된 예배의 이유

    이 시편은 단순히 “찬양하라”는 명령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왜 찬양해야 하는가?

    • 하나님은 선하시며(3절),
    • 우리를 택하셨고(4절),
    • 창조와 구원에서 능력을 보이셨으며(6-12절),
    • 우상과는 비교할 수 없는 살아 계신 분이시기 때문입니다(15-18절).

    “우리는 단순히 ‘찬양해야 한다’는 의무 때문에 하나님을 예배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면, 그분을 찬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복음을 경험한 사람은 억지로 하나님을 높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마음 깊은 곳에서 찬양이 터져 나옵니다.


    3. 정리

    시편 135편은 단순한 예배의 권면이 아니라, 우리가 왜 하나님만 예배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 하나님은 선하시며, 우리를 택하셨습니다.
    • 하나님은 창조와 구원 속에서 능력과 신실함을 드러내셨습니다.
    • 하나님은 영원히 기억될 이름을 가지신 분이십니다.
    • 반대로 우상은 무능하고, 그것을 섬기는 자는 결국 그 무능을 닮아갑니다.

    이 시편은 오늘 우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은 무엇을 예배하고 있습니까? 당신이 섬기는 것이 결국 당신을 닮게 만듭니다. 살아 계신 하나님을 찬양하십시오. 그분 안에서만 진정한 자유와 변화, 그리고 생명이 있습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