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2   솔로몬이 여호와의 제단 앞에서 이스라엘의 모든 회중과 마주 서서 그의 손을 펴니라
    13   솔로몬이 일찍이 놋으로 대를 만들었으니 길이가 다섯 규빗이요 너비가 다섯 규빗이요 높이가 세 규빗이라 뜰 가운데에 두었더니 그가 그 위에 서서 이스라엘의 모든 회중 앞에서 무릎을 꿇고 하늘을 향하여 손을 펴고
    14   이르되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여 천지에 주와 같은 신이 없나이다 주께서는 온 마음으로 주의 앞에서 행하는 주의 종들에게 언약을 지키시고 은혜를 베푸시나이다


    15   주께서 주의 종 내 아버지 다윗에게 허락하신 말씀을 지키시되 주의 입으로 말씀하신 것을 손으로 이루심이 오늘과 같으니이다
    16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께서 주의 종 내 아버지 다윗에게 말씀하시기를 네 자손이 그들의 행위를 삼가서 네가 내 앞에서 행한 것 같이 내 율법대로 행하기만 하면 네게로부터 나서 이스라엘 왕위에 앉을 사람이 내 앞에서 끊어지지 아니하리라 하셨사오니 이제 다윗을 위하여 그 허락하신 말씀을 지키시옵소서
    17   그런즉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여 원하건대 주는 주의 종 다윗에게 하신 말씀이 확실하게 하옵소서


    18   하나님이 참으로 사람과 함께 땅에 계시리이까 보소서 하늘과 하늘들의 하늘이라도 주를 용납하지 못하겠거든 하물며 내가 건축한 이 성전이오리이까
    19   그러나 나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의 종의 기도와 간구를 돌아보시며 주의 종이 주 앞에서 부르짖는 것과 비는 기도를 들으시옵소서
    20   주께서 전에 말씀하시기를 내 이름을 거기에 두리라 하신 곳 이 성전을 향하여 주의 눈이 주야로 보시오며 종이 이 곳을 향하여 비는 기도를 들으시옵소서


    21   주의 종과 주의 백성 이스라엘이 이 곳을 향하여 기도할 때에 주는 그 간구함을 들으시되 주께서 계신 곳 하늘에서 들으시고 들으시사 사하여 주옵소서
    22   만일 어떤 사람이 그의 이웃에게 범죄하므로 맹세시킴을 받고 그가 와서 이 성전에 있는 주의 제단 앞에서 맹세하거든
    23   주는 하늘에서 들으시고 행하시되 주의 종들을 심판하사 악한 자의 죄를 정하여 그의 행위대로 그의 머리에 돌리시고 공의로운 자를 의롭다 하사 그 의로운 대로 갚으시옵소서


    24   만일 주의 백성 이스라엘이 주께 범죄하여 적국 앞에 패하게 되므로 주의 이름을 인정하고 주께로 돌아와서 이 성전에서 주께 빌며 간구하거든
    25   주는 하늘에서 들으시고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죄를 사하시고 그들과 그들의 조상들에게 주신 땅으로 돌아오게 하옵소서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과 성전 봉헌 기도” (대하 6:12-42)


    1. 본문 요약

    성전 건축을 완성한 솔로몬은 모든 백성 앞에서 하나님께 장엄한 기도를 드렸습니다.

    • 기도의 자세 (12–13절): 솔로몬은 성전 앞에 세운 놋 단 위에 서서 백성 앞에 무릎을 꿇고, 손을 하늘로 펴며 기도를 시작했습니다. 이는 왕이자 지도자로서 하나님께 완전히 의지하는 겸손한 태도를 보여 줍니다.
    • 하나님의 신실하심 고백 (14–17절): 그는 하나님을 “천지에 주와 같은 신이 없다”고 찬양하며, 하나님께서 다윗과 맺으신 언약을 지키셨음을 고백했습니다. 또한 다윗의 자손이 하나님의 율법을 따라 살 때 왕위가 끊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이 계속 성취되기를 간구했습니다.
    • 성전의 한계와 은혜 (18–21절): 솔로몬은 “하늘과 하늘들의 하늘이라도 주를 용납하지 못하겠거든 내가 건축한 성전이야 하물며”라며 성전의 한계를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은혜로 성전을 기도의 장소로 삼아 주시기를 간청했습니다.
    • 구체적 기도의 제목들 (22–39절):
      • 개인 간의 범죄와 맹세 문제 (22–23절)
      • 이스라엘이 죄로 인해 적군에게 패했을 때 (24–25절)
      • 가뭄이 있을 때 (26–27절)
      • 기근, 전염병, 재난이 있을 때 (28–31절)
      • 이방인이 성전에 와서 기도할 때 (32–33절)
      • 전쟁에 나갈 때 (34–35절)
      • 포로로 끌려갔을 때 (36–39절)
      그는 모든 상황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회개하고 성전을 향해 기도할 때, 하나님께서 하늘에서 들으시고 죄를 사하시며 회복시켜 달라고 간절히 구했습니다.
    • 마무리 간구 (40–42절): 솔로몬은 하나님께서 성전을 향해 눈과 귀를 열어주시고, 제사장과 백성, 그리고 기름 부음을 받은 왕을 기억해 주시기를 기도했습니다.

    즉, 이 기도는 성전 봉헌식의 절정으로,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하심을 고백하고, 전 민족의 삶과 운명을 하나님께 맡기는 전인적 기도였습니다.


    2. 주해

    (1) 언약의 하나님 (14–17절)

    솔로몬은 하나님을 언약에 신실하신 분으로 고백합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성경 전체를 언약의 역사로 이해합니다. 하나님은 다윗에게 약속하신 대로 솔로몬을 세우셨고, 성전을 통해 임재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인간의 불순종에도 불구하고 신실하심을 잃지 않으신다는 교리를 보여 줍니다.

    (2) 성전의 한계와 모형성 (18절)

    솔로몬은 성전이 하나님의 거처가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성전은 하나님의 임재를 제한하는 공간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와 언약의 상징적 표징이었습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성전을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해석합니다. 참된 성전은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시며(요 2:21), 그 안에서만 하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3) 기도의 보편성과 중보 (22–39절)

    솔로몬의 기도는 이스라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심지어 이방인들의 기도까지도 포함합니다(32–33절). 이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열방을 향해 열려 있음을 보여 줍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민족이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에 들어온다고 해석합니다. 또한 솔로몬의 중보적 기도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중보 사역을 예표합니다.

    (4) 죄와 회개, 그리고 용서 (24–39절)

    기도의 핵심은 언제나 죄와 회개, 그리고 하나님의 용서입니다. 이스라엘의 모든 문제는 죄에서 비롯되며, 해결은 하나님께 회개하는 데 있습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이를 은혜 언약의 핵심으로 봅니다. 우리는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만 용서를 받습니다.

    (5) 메시아적 기대 (40–42절)

    솔로몬은 마지막에 “주의 기름 부음 받은 자를 버리지 마옵소서”라고 기도합니다. 이는 단순히 다윗 왕조를 위한 기도가 아니라, 장차 오실 메시아를 통한 구원의 약속을 가리킵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이 기도가 결국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다고 해석합니다.


    3. 묵상

    (1) 신앙의 중심은 건물이 아니라 하나님

    솔로몬은 성전의 한계를 인정했습니다. 오늘날 교회의 중심도 건물이나 시설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입니다. 건물은 수단일 뿐, 예배와 공동체의 본질은 하나님의 임재와 말씀입니다.

    (2) 위기 속의 기도

    솔로몬은 전쟁, 가뭄, 기근, 전염병, 포로 등 다양한 위기 상황을 언급했습니다. 현대인도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불안, 팬데믹과 같은 위기 속에서 기도의 자리로 나아가야 합니다. 하나님은 여전히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십니다.

    (3) 개인과 공동체의 회개

    기도에서 반복되는 핵심은 죄와 회개입니다. 오늘날 신앙생활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회개입니다. 회개 없는 신앙은 형식에 불과합니다. 진실한 회개가 있을 때, 하나님은 용서와 회복을 베푸십니다.

    (4) 열방을 향한 열린 신앙

    솔로몬은 이방인의 기도까지도 하나님이 들어주시기를 간구했습니다. 이는 교회가 배타적인 공동체가 아니라, 열방을 향해 열린 공동체임을 보여 줍니다. 오늘날 교회는 민족, 언어, 문화의 장벽을 넘어 모든 사람에게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5)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기도

    솔로몬의 기도는 메시아를 향한 기대를 내포합니다. 오늘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할 수 있는 특권을 누립니다. 우리의 기도가 응답되는 근거는 우리의 의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입니다.


    4. 적용과 결론

    역대하 6장은 솔로몬의 성전 봉헌 기도를 통해 오늘날 성도에게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1. 하나님의 언약에 신뢰하라 – 하나님은 다윗과의 언약을 지키셨듯, 오늘도 신실하게 약속을 이루신다.
    2. 성전보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 – 건물이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와 은혜가 교회의 중심이다.
    3. 위기 속에서 회개와 기도로 나아가라 – 삶의 모든 문제는 하나님께 회개하고 구할 때 해결된다.
    4. 열방을 품는 교회가 되라 – 복음은 민족과 국경을 넘어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다.
    5. 예수 그리스도만이 참된 성전이자 중보자다 – 우리의 기도와 예배는 그리스도 안에서만 하나님께 상달된다.

    👉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질문은 이것입니다.
    “너의 신앙의 중심은 어디에 있는가? 건물과 제도인가, 아니면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언약인가?”

    정답은 분명합니다. 우리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이며, 우리의 소망은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께 있습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