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하나님의 작정은 그 뜻대로 하신 영원한 경륜인데, 이로 말미암아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앞으로 되어질 일을 미리 정하신 것이다.”
✨ 하나님의 작정이란?
하나님의 작정은 하나님께서 세상이 시작되기도 전에 모든 일을 미리 계획하시고 정하신 것입니다. 이 계획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며, 그분의 영광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어요.
📖 에베소서 1:11
“모든 일을 그 마음의 원대로 역사하시는 이의 뜻을 따라 우리가 예정을 입어…”
즉, 하나님의 작정은 단순한 미래 예측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과 목적에 따라 반드시 이루어지는 계획입니다.
❓ 왜 하나님은 모든 일을 작정하셨을까요?
하나님은 모든 것을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작정하셨습니다.
우주의 창조, 인간의 삶, 구원과 심판까지 모든 것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과정인 것이죠.
📖 로마서 11:36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그에게 영광이 세세에 있을지어다 아멘.”
🔍 하나님의 작정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하나님의 작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1. 일반 작정 (General Decrees)
- 세상의 모든 일과 피조물의 존재와 활동에 대한 하나님의 포괄적인 계획입니다.
- 심지어 인간의 선한 행동뿐만 아니라 악한 일조차도 하나님의 허용 안에서 작정된 것입니다.
📖 사도행전 4:27-28
“과연 헤롯과 본디오 빌라도는… 하나님의 권능과 뜻대로 이루려고 예정하신 그것을 행하려고 이 성에 모였나이다.”
2. 특별 작정 (Special Decrees)
- 인간과 천사, 특히 구원에 관련된 작정입니다.
- 인간의 선택과 유기(택하심과 버려두심)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이 여기에 포함돼요.
✅ 하나님의 선택에 대한 작정
하나님은 어떤 사람들을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하시기로 작정하셨습니다. 이 선택은 인간의 행위나 자격 때문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기쁘신 뜻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에요.
📖 에베소서 1:4-6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그의 기쁘신 뜻대로 예정하사… 그의 은혜의 영광을 찬미하게 하려는 것이라”
📖 데살로니가후서 2:13
“하나님이 처음부터 너희를 택하사 성령의 거룩하게 하심과 진리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게 하심이니…”
⚖️ 하나님의 유기에 대한 작정
반대로, 하나님은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을 그들의 죄와 불순종 가운데 버려두시기로 작정하셨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공의와 주권을 드러내는 방식이에요.
📖 로마서 9:21-22
“토기장이가… 하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쓸 그릇을 만드는 권이 없느냐…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 내가 선택받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성경은 선택받은 자는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하나님을 향한 믿음과 거룩함이 자라나고 있다면, 그것이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증거일 수 있어요.
📖 베드로후서 1:10
“더욱 힘써 너희 부르심과 택하심을 굳게 하라…”
하지만 반대로, 어떤 사람이 유기되었는지는 이 땅에서는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성령을 거스르는 죄(마12:31-32)를 제외하고는, 어떤 죄인이라도 회개하고 구원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고린도전서 6:9-11
“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더니…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었느니라.”
🙏 마무리: 하나님의 작정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하나님의 작정은 우리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닙니다. 하지만 성경은 하나님의 모든 계획이 선하고, 지혜롭고, 공의롭다고 선언합니다.
우리는 이 진리를 통해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고, 주님의 뜻을 신뢰하며, 구원의 확신 안에서 살아가야 합니다.
'기독교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예배] 평신도 신앙강좌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6문 (0) | 2025.04.02 |
---|---|
[수요예배] 평신도 신앙강좌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5문 (0) | 2025.03.26 |
[수요예배] 평신도 신앙강좌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4문 (0) | 2025.03.19 |
[수요예배] 인생의 제일된 목적(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1문) (2) | 2025.02.26 |
칼빈주의 입장에서 본 예지 예정론의 문제점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