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본문읽기
1 여로보암 왕 열여덟째 해에 아비야가 유다의 왕이 되고
2 예루살렘에서 삼 년 동안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미가야요 기브아 사람 우리엘의 딸이더라 아비야가 여로보암과 더불어 싸울새
3 아비야는 싸움에 용감한 군사 사십만 명을 택하여 싸움을 준비하였고 여로보암은 큰 용사 팔십만 명을 택하여 그와 대진한지라
4 아비야가 에브라임 산 중 스마라임 산 위에 서서 이르되 여로보암과 이스라엘 무리들아 다 들으라
5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께서 소금 언약으로 이스라엘 나라를 영원히 다윗과 그의 자손에게 주신 것을 너희가 알 것 아니냐
6 다윗의 아들 솔로몬의 신하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일어나 자기의 주를 배반하고
7 난봉꾼과 잡배가 모여 따르므로 스스로 강하게 되어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을 대적하였으나 그 때에 르호보암이 어리고 마음이 연약하여 그들의 입을 능히 막지 못하였었느니라
8 이제 너희가 또 다윗 자손의 손으로 다스리는 여호와의 나라를 대적하려 하는도다 너희는 큰 무리요 또 여로보암이 너희를 위하여 신으로 만든 금송아지들이 너희와 함께 있도다
9 너희가 아론 자손인 여호와의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쫓아내고 이방 백성들의 풍속을 따라 제사장을 삼지 아니하였느냐 누구를 막론하고 어린 수송아지 한 마리와 숫양 일곱 마리를 끌고 와서 장립을 받고자 하는 자마다 허무한 신들의 제사장이 될 수 있도다
10 우리에게는 여호와께서 우리 하나님이 되시니 우리가 그를 배반하지 아니하였고 여호와를 섬기는 제사장들이 있으니 아론의 자손이요 또 레위 사람들이 수종 들어
11 매일 아침 저녁으로 여호와 앞에 번제를 드리며 분향하며 또 깨끗한 상에 진설병을 놓고 또 금 등잔대가 있어 그 등에 저녁마다 불을 켜나니 우리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의 계명을 지키나 너희는 그를 배반하였느니라
12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사 우리의 머리가 되시고 그의 제사장들도 우리와 함께 하여 전쟁의 나팔을 불어 너희를 공격하느니라 이스라엘 자손들아 너희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와 싸우지 말라 너희가 형통하지 못하리라
13 여로보암이 유다의 뒤를 둘러 복병하였으므로 그 앞에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있고 그 뒤에는 복병이 있는지라
14 유다 사람이 뒤를 돌아보고 자기 앞 뒤의 적병으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부르짖고 제사장들은 나팔을 부니라
15 유다 사람이 소리 지르매 유다 사람이 소리 지를 때에 하나님이 여로보암과 온 이스라엘을 아비야와 유다 앞에서 치시니
16 이스라엘 자손이 유다 앞에서 도망하는지라 하나님이 그들의 손에 넘기셨으므로
17 아비야와 그의 백성이 크게 무찌르니 이스라엘이 택한 병사들이 죽임을 당하고 엎드러진 자들이 오십만 명이었더라
18 그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항복하고 유다 자손이 이겼으니 이는 그들이 그들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의지하였음이라
19 아비야가 여로보암을 쫓아가서 그의 성읍들을 빼앗았으니 곧 벧엘과 그 동네들과 여사나와 그 동네들과 에브론과 그 동네들이라
20 아비야 때에 여로보암이 다시 강성하지 못하고 여호와의 치심을 입어 죽었고
21 아비야는 점점 강성하며 아내 열넷을 거느려 아들 스물둘과 딸 열여섯을 낳았더라
22 아비야의 남은 사적과 그의 행위와 그의 말은 선지자 잇도의 주석 책에 기록되니라
14장
1 아비야가 그의 조상들과 함께 누우매 다윗 성에 장사되고 그의 아들 아사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 그의 시대에 그의 땅이 십 년 동안 평안하니라
1. 요약
아비야는 여로보암 18년에 유다 왕이 되어 3년간 예루살렘에서 다스렸습니다. 그는 40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80만 명의 군대를 거느린 여로보암과 맞서 싸웠습니다. 아비야는 스마라임 산 위에서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소금 언약을 상기시키며, 다윗 왕조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스라엘이 금송아지 우상을 섬기고 참 제사장을 버렸음을 지적하며, 유다는 여호와의 계명을 지키고 있음을 선언했습니다.
전투 중 여로보암은 유다의 뒤를 포위했으나, 유다는 하나님께 부르짖었고 제사장들이 나팔을 불었습니다. 그때 하나님께서 유다를 도우셔서 이스라엘 군대 50만 명이 죽임을 당하고, 유다가 승리하게 되었습니다. 그 승리는 유다가 여호와를 의지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후 아비야는 여로보암의 여러 성읍을 점령했고, 여로보암은 하나님의 치심을 입어 강성하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아비야는 점점 강성해지고 많은 자녀를 낳았습니다.
2. 묵상
이 장의 핵심은 “여호와를 의지함이 승리의 길”이라는 메시지입니다. 숫자적으로 열세였던 유다가 승리한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 때문이었습니다. 아비야의 설교는 단순한 정치적 선동이 아니라, 다윗 언약에 기초한 신학적 선언이었습니다. “소금 언약”이라는 표현은 변하지 않는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성을 보여줍니다.
여로보암은 인간적 전략과 수적 우세를 자랑했으나, 결국 우상 숭배와 하나님을 거역한 죄로 인해 패배했습니다. 반면, 유다는 하나님을 찾고 부르짖었을 때 전쟁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개입하셨습니다. 이 장면은 이스라엘 역사를 관통하는 메시지와 맞닿아 있습니다. “승리의 비밀은 힘이나 군사력에 있지 않고, 하나님을 의지하는 믿음에 있다.”
3. 적용
오늘날 우리는 군사 전쟁 대신 보이지 않는 영적 전쟁과 삶의 치열한 도전에 직면합니다. 직장, 가정, 관계, 경제적 문제 등에서 우리는 수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일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역대하 13장은 우리에게 다시금 분명히 말합니다. “승리는 하나님께 달려 있다.”
현대 사회는 “숫자”와 “능력”을 강조합니다. 더 많은 스펙, 더 큰 자본, 더 넓은 네트워크가 성공의 열쇠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숫자와 무기를 넘어서는 분이십니다. 우리가 그분을 의지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가장 약한 순간에 강하게 일하시고, 인간의 한계를 뚫고 구원의 길을 열어주십니다.
또한 이 본문은 우리 신앙의 순수성을 점검하게 합니다. 여로보암처럼 자기 방식대로 하나님을 대체할 우상을 세우고 있지는 않은가? 우리의 마음속에 자리한 “작은 금송아지”들—돈, 명예, 자기 의, 성공—이 진짜 하나님을 대신하고 있지는 않은가?
“우리가 하나님보다 더 의지하는 그 무엇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우리의 우상이다.”
역대하 13장은 승리를 가져오는 길이 우상 제거와 하나님 전적 의지임을 다시 확인시켜 줍니다.
결국 복음 안에서 우리는 더 큰 아비야, 곧 예수 그리스도를 봅니다. 그는 다윗 언약의 완성으로 오셔서,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와 사망을 이기셨습니다. 세상 눈에는 패배처럼 보였지만, 그 순간이야말로 참된 승리였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을 때, 숫자와 환경이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과 은혜가 우리의 삶을 붙드십니다.
(송병민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