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본문읽기
1 다섯째 천사가 나팔을 불매 내가 보니 하늘에서 땅에 떨어진 별 하나가 있는데 그가 무저갱의 열쇠를 받았더라
2 그가 무저갱을 여니 그 구멍에서 큰 화덕의 연기 같은 연기가 올라오매 해와 공기가 그 구멍의 연기로 말미암아 어두워지며
3 또 황충이 연기 가운데로부터 땅 위에 나오매 그들이 땅에 있는 전갈의 권세와 같은 권세를 받았더라
4 그들에게 이르시되 땅의 풀이나 푸른 것이나 각종 수목은 해하지 말고 오직 이마에 하나님의 인침을 받지 아니한 사람들만 해하라 하시더라
5 그러나 그들을 죽이지는 못하게 하시고 다섯 달 동안 괴롭게만 하게 하시는데 그 괴롭게 함은 전갈이 사람을 쏠 때에 괴롭게 함과 같더라
6 그 날에는 사람들이 죽기를 구하여도 죽지 못하고 죽고 싶으나 죽음이 그들을 피하리로다
7 황충들의 모양은 전쟁을 위하여 준비한 말들 같고 그 머리에 금 같은 관 비슷한 것을 썼으며 그 얼굴은 사람의 얼굴 같고
8 또 여자의 머리털 같은 머리털이 있고 그 이빨은 사자의 이빨 같으며
9 또 철 호심경 같은 호심경이 있고 그 날개들의 소리는 병거와 많은 말들이 전쟁터로 달려 들어가는 소리 같으며
10 또 전갈과 같은 꼬리와 쏘는 살이 있어 그 꼬리에는 다섯 달 동안 사람들을 해하는 권세가 있더라
11 그들에게 왕이 있으니 무저갱의 사자라 히브리어로는 그 이름이 아바돈이요 헬라어로는 그 이름이 아볼루온이더라
12 첫째 화는 지나갔으나 보라 아직도 이 후에 화 둘이 이르리로다
무저갱의 열림, 그리고 인침의 의미
요한계시록 9장의 묵시는 우리를 충격 속으로 끌고 들어간다. 다섯째 나팔이 울리자 무저갱이 열리고, 검은 연기가 하늘을 덮으며, 상상할 수 없는 황충들이 땅을 덮는다. 그러나 이 환상은 단순한 공포가 아니라, 오히려 우리가 ‘하나님의 보호 안에 있는가?’를 되물어보게 하는 신학적 경고이며, 영적 전환점이다.
무저갱은 지옥의 가장 밑바닥, 가장 깊은 죄의 심연을 상징한다. 그 문을 여는 자는 하늘에서 떨어진 별, 즉 타락한 천사, 사탄의 사자다. 그는 혼란과 파괴의 열쇠를 받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열쇠를 "받았다"는 것이다. 그는 자의로 열 수 없다. 주권자는 여전히 하나님이시다. 고통은 허락된다. 하지만 그것조차도 하나님의 손에 의해 경계가 그어진 고통이다.
황충은 단순한 곤충이 아니다. 이 존재는 인간의 얼굴, 여자의 머리털, 사자의 이빨, 철 호심경, 전갈의 꼬리 등으로 묘사된다. 이 기괴한 복합체는 상징적으로 혼합된 타락한 문화, 권력, 왜곡된 영성을 드러낸다. 인간을 괴롭게 하지만 죽이지는 않는다. 왜? 아직 기회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고통 가운데 죽기를 원하지만, 죽음은 그들을 피한다. 인간은 고통의 목적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그것을 회피하려 한다. 그러나 고통의 진정한 목적은 회개를 촉구하는 하나님의 나팔 소리다. 그것은 생명의 절규이고, 회심의 마지막 기회다. 하나님의 인침을 받지 않은 자들은 고통에 휩싸인다. 이 인침은 단순한 종교적 신분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소유, 하나님의 생명, 하나님의 보호를 뜻한다.
우리는 스스로를 점검해야 한다. 나에게 하나님의 인침이 있는가? 나는 누구의 소유로 살아가는가? 신앙생활은 표면적인 열심만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하나님의 말씀에 굳게 서 있고, 회개하며, 영적으로 깨어 있는 사람만이 이 황충의 괴로움에서 구별된다.
이 장면은 또한 인간 문명의 교만에 대한 심판이기도 하다. 전갈의 꼬리로 찌르고, 철 호심경으로 무장한 이 황충들은 마치 전쟁, 폭력, 정치적 탄압, 왜곡된 이념과 이단들을 연상케 한다. 이것이 지금 세상에도 이미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결국, 이 모든 고통은 첫 번째 화일 뿐이다. 아직도 둘과 셋이 남아 있다. 하나님은 심판을 통해 경고하시고, 회개를 촉구하신다. 이 심판은 복수가 아니다. 사랑의 마지막 수단이다. 죄에 대한 하나님의 거룩한 분노는, 구원받을 자를 위한 은혜의 마지막 외침과도 같다.
묵시는 현실이다. 그날은 오늘의 연장선에 있다. 아직 인침의 은혜가 열려 있을 때, 주님의 것이라 인정받는 삶으로 나아가야 한다. 미지근한 종교인으로 살 것인가, 아니면 확실한 인침 받은 자로 살 것인가. 그 물음 앞에, 지금 우리는 서 있다.
(송병민목사)
'아침묵상 매일성경(성서유니온) > 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성경 아침묵상] 기도와 심판 (계8:1-13) (0) | 2025.07.12 |
---|---|
[매일성경 아침묵상] 천성을 향해 가는 성도 (계7:1-17) (1) | 2025.07.11 |
[매일성경 아침묵상] 봉인을 떼시는 어린양 (계6:1-17) (1) | 2025.07.10 |
[매일성경 아침묵상] 죽임 당하신 어린양께 (계5:1-14) (0) | 2025.07.09 |
[매일성경 아침묵상] 하늘 보좌에 계신 하나님 (계4:1-11) (0) | 2025.07.08 |